북한 "핵 군축회담 열자" 미국 "핵 위협 인내 한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이 핵 폐기 조치를 전면 거부했다.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은 18일 중국 베이징(北京) 댜오위타이(釣魚臺.고위급 인사의 숙소와 회담장으로 쓰이는 중국 국영호텔)에서 재개된 6자회담에서 "미국의 금융 제재와 유엔 안보리 제재가 해제돼야 9.19 공동성명 이행 방안 논의 시작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김 부상은 이와 함께 "북한을 적으로 규정한 미국의 법률적.제도적 장치를 철폐하고, 경수로를 제공해야 핵 프로그램을 포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해 9.19 공동성명에서 "현존하는 핵 계획을 포기한다"고 합의했다.

김 부상은 핵군축회담 개최도 주장했다. 그는 "현 단계에서 핵무기 문제를 논의하려면 핵군축회담의 진행을 요구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핵군축회담은 핵 보유국들이 핵무기 감축 등을 협의하는 것으로, 이를 받아들일 경우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는 셈이 된다.

미국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회담 기조연설에서 "미국은 북한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진할 준비가 돼 있으나 이는 완전하고 불가역적인 한반도 비핵화가 이뤄졌을 때 가능하다"고 밝혔다. 회담이 끝난 뒤에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우리의 인내가 한계를 넘어섰다"며 "북한이 비핵화를 원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다른 길로 갈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이상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