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이동찬 경총회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산업평화의 원년」으로 시작했던 지난 한해를 보내고 새로운 노사관계 발전을 위한 기대와 희망 속에 새해를 맞이하게 되었다.
올해는 기필코 산업평화가 뿌리내려져야 할 해다.
올해 노사관계는 국내외 정치·경제여건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자제선거를 앞둔 상태에서 대외적으로는 페르시아만 사태와 선진국 경제의 저성장이 예견되고 대내적으로 물가고와 국제경쟁력약화 등으로 올해의 경제성장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이와함께 「연대를 위한 대기업 노조회의」 등 새로운 노조세력의 등장, 물가상승에 따른 임금협상의 난제들이 올해 노사관계에 있어 새로운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유가·생필품 등 물가상승으로 인해 올해 임금협상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노사가 함께 인식해야 할 것은 노사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산업발전과 근로자의 소득이 향상될 수 있는 방향에서 임금협상이 조정돼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의 생산성이 뒷받침 되지않는 고율임금 인상은 기업 경영난을 더욱 악화시켜 결국 대외경쟁력 약화와 물가상승을 유발, 이는 다시 근로자 실질소득의 감소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될것이다.
이같은 관점에서 볼 때 올해는 기필코 물가와 임금상승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사의 단합된 노력을 경주해야할 때라고 생각한다.
지난해는 노사양측의 노력으로 산업평화의 전기를 마련했다.
올해는 이를 토대로 기업·근로자 모두가 근로의욕을 높이는 가운데 생산성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실질적인 노사협력의 성과를 고양할 때라고 생각한다.
최근 대기업 연대회의 등 노동계의 새로운 움직임이 있어 많은 사람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는데 모든 노사문제는 법이 정한 바에 따라 제도권내 노사기구를 통해 해결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올해 임금협상이나 지자제선거에 따른 사회기강의 해이 등으로 노사불안정 요인이 있기는 하나 기업·근로자·국민 모두가 지난 해에 보여주었던 산업평화 의지를 올해에도 되살린다면 금년이야말로 산업평화의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을 확신해마지 않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