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업계와 정부는 체코 두코나비 원전 수주에 성공하면 체코를 교두보로 유럽 원전 시장에 본격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으로 확산하던 탈(脫)원전 기조가 점차 폐기되면서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올해 3월 유럽연합(EU) 의장국인 벨기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공동으로 ‘원자력 정상회의’를 개최했는데, 이 자리에 참여한 38개국은 선언문을 통해 “원전의 잠재력을 완전히 개방하고 원자로 수명 연장 지원을 위한 금융 조건을 완화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원전으로의 ‘유턴’을 선언한 것이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당시 “원전은 청정 에너지원을 대규모로 확보하기 위한 가장 저렴한 방법이자 탄소중립(탄소 배출량 0)을 향한 비용 대비 효과도 좋다”고 강조했다. 유럽이 원전 유턴을 선언한 데는 재생에너지만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현실이 바탕이 됐다. 유럽은 지난 10여 년간 원전 비중을 줄이는 대신 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해 왔지만 발전 비용 상승 문제에 시달려왔다.
여기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전쟁으로 에너지 안보가 위협받으면서 에너지 대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이다. 프랑스는 2050년까지 신규 원전 14기를 건설한다는 계획이고, 영국도 8기를 새로 짓기로 했다. 현재 원전 1기를 운영 중인 네덜란드는 2035년까지 원전 1기를 추가 건설한다는 목표다.
유럽뿐 아니라 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등지도 원전 확대를 검토 중이다. 남아공은 2032~2033년 가동을 목표로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이고, 중국은 40여 기를 추가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 같은 원전으로의 유턴 움직임은 더 확대될 전망이다. 지난달 주요 7개국(G7)이 2035년께 석탄 화력발전소 운영을 전면 금지키로 했는데, 석탄 발전의 빈자리는 신재생에너지와 원전이 채울 전망이다.
한동안 멈췄던 국내 기업들의 원전 건설 공사 수주도 이어지고 있다. 현대건설은 올해 초 미국 업체와 함께 불가리아 신규 원전 건설 공사를 따냈다. 한국형 원전 수출은 아니지만, 글로벌 원전시장이 다시 열리면서 끊겼던 일감이 들어오고 있는 것이다. 원전 건설 사업은 주기기(원자로·스팀발생기·터빈) 부문과 건설 부문으로 나뉘는데, 건설 부문이 통상 50~60% 정도를 차지한다.
산업통상자원부 측은 “정부는 원전 생태계 복원을 넘어 원전 최강국 도약을 위해 수출 포트폴리오를 대형 원전, 원전 설비, 서비스로 다각화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