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혼 상대 고를 때 남성 30%는 전처와 비교… 여성은 돌싱 생활과 견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돌싱을 대상으로 재혼의 걸림돌 등에 대해 조사했다. 남녀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앙포토

돌싱을 대상으로 재혼의 걸림돌 등에 대해 조사했다. 남녀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앙포토

재혼 때 걸림돌이 되는 사항으로 남성 돌싱은 이성에 대한 불신, 여성은 재혼에 대한 선입견을 첫손으로 꼽았다.

재혼 전문 결혼정보회사 온리-유가 결혼정보업체 비에나래와 공동으로 13~18일 전국의 재혼희망 남녀 516명을 대상으로 재혼을 할 때 가장 큰 내적인 어려움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다.

20일 공표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성은 이성에 대한 불신(38.0%), 자녀에 대한 애착(27.1%), 재혼에 대한 선입견(23.7%), 초혼 실패의 상처(11.2%) 순서로 재혼 과정에서 내적 갈등을 꼽았다. 여성은 재혼에 대한 선입견이 34.1%로 가장 높았다. 이후 이성 불신(28.7%), 자녀에 대한 애착(22.5%), 초혼 실패의 상처(14.7%) 순서였다.

재혼 상대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기준도 남녀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다.

재혼을 희망하는 남성 돌싱은 전 배우자와의 비교(30.6%), 친가의 평가(27.5%) 등이 주요한 요소였다. 이어서 자녀의 평가(18.65), 취미활동(16.3%), 돌싱생활과 비교(7.0%) 순서였다.

반면 여성은 돌싱생활과 비교(32.6%), 취미활동(25.6%)가 평가의 주요 척도였다. 그 이후엔 자녀의 평가(19.0%), 전 배우자와 비교(15.4%), 친가의 평가(7.4%) 순이었다.

돌싱 때 생활 습관 중 재혼 후 가장 고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 항목에 대해서는 남성의 32.6%가 여가시간 활용을 꼽았다. 여성은 29.1%가 간섭 없는 생활이라고 답했다.

이어 남성은 간섭 없는 생활(29.0%), 여성은 식사 해결 방법(25.6%)을 2위로 들었다.

손동규 온리-유 대표는 "초혼이든 재혼이든 결혼을 하게 되면 혼자 사는 삶보다 좋은 점이 있는가 하면 못한 점도 있게 마련"이라며 "결혼의 장점을 보고 적극적으로 재혼을 추진하되 상대를 고를 때 본인이 절대 극복하기 힘든 단점이 있는지 없는지 눈여겨 봐야한다"라고 조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