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병기 ‘필향만리’

吾未嘗無誨焉(오미상무회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스스로 찾아와 배움을 청하는 사람을 가르치지 않은 적이 없다”고 자부했다. 단 한 가지, “한 묶음 이상의 육포를 폐백(幣帛)으로 바치는 예를 다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폐백’은 주로 ‘혼례 때 신부가 구고(舅姑:시아버지, 시어머니)로 받들어 모시겠다는 다짐의 예를 올리기 위해 준비하는 특별 음식’을 말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어떤 예이든 예를 갖출 때 준비하는 예물을 통칭하여 폐백이라고 한다.

嘗:일찍 상, 誨:가르칠 회, 焉:어조사 언. 일찍이 가르치지 않은 적이 없다. 33x70㎝.

嘗:일찍 상, 誨:가르칠 회, 焉:어조사 언. 일찍이 가르치지 않은 적이 없다. 33x70㎝.

공자는 학생을 받아들여 가르치되, ‘스스로 찾아와야’ 하고 ‘최소한의 예물을 바쳐야 한다’는 조건을 엄격히 지키게 했다. 사람은 누구라도 선을 향하고자 하는 본성을 타고났으므로 잘 가르쳐서 착한 본성을 드러나게 해야 한다는 신념으로 교육에 임했지만, “학생이 스스로 예를 갖춰 찾아와서 배워야지 스승이 가서 가르치는 법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한 것이다.

배움에 대한 갈증이 없으면 교육 효과도 없다는 생각과 함께 예를 갖추는 것 자체가 배움의 시작이라는 것이 공자의 뜻인 것이다.

학생은 배우려 하지 않는데 교사가 오히려 학생을 향해 “공부하시지요!”라고 애타게 비는 ‘과잉 교육’은 효과가 반감할 수밖에 없다. ‘학생 중심’ 교육과 함께 ‘선생님의 권위’도 깊이 헤아려야 할 때이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