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조선불화…석가의 어머니·아내 비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해방 후 처음 귀향한 백제 ‘금동관음보살입상’의 미소. [사진 호암미술관]

해방 후 처음 귀향한 백제 ‘금동관음보살입상’의 미소. [사진 호암미술관]

정병을 든 왼손, 흘러내린 옷 주름, 그리고 살짝 입꼬리를 올린 미소. 이런 디테일은 당시 백제인만이 연출할 수 있었다. 7세기 중반 제작된 거로 추정되는 높이 26.7㎝ 백제 ‘금동관음보살입상’이다. 충남 부여 규암리 출토품으로 보이는 이 불상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가져갔다가 2018년에야 존재가 알려지며 ‘백제의 미소’라는 별명을 얻었다. 당시 문화재청은 42억원까지 주고라도 환수하려 했으나 소유자가 150억원을 제시해 협상이 결렬됐다.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에서 25일 개막한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특별전을 위해 약 80년 만에 귀향했다. 물론 빌려왔다.

세계 곳곳에 흩어진 불교미술 걸작 92점을 모은 이번 전시의 키워드는 ‘여성과 불교’다. 이승혜 책임연구원은 “현대미술에서 여성을 조명하는 여러 움직임을 보며, 불교미술에도 많은 여성이 존재하지만 한 번도 조명된 적이 없다는 걸 깨닫고 전시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리움미술관·국립중앙박물관·불교중앙박물관 등 9곳에서 국보 1건과 보물 10건 등 40건을 모았다. 이건희 컬렉션 9건과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보스턴미술관, 영국박물관, 도쿄국립박물관 등의 불교 미술품이 대거 포함됐다. 47건이 한국에 처음 들어온 해외 소재 유물이다. 해방 후 처음 귀향한 ‘금동관음보살입상’이 그렇고, 세트로 추정되는 ‘석가탄생도’가 ‘석가출가도’ 나란히 걸리는 것도 처음이다.

일본 혼가쿠지(本岳寺)에서 온 '석가탄생도' 속 마야 부인의 봉황 장식에 가체 올린 머리 모양은 조선 왕실 여성의 큰머리를 닮았다.

일본 혼가쿠지(本岳寺) 소장 ‘석가탄생도’. [사진 호암미술관]

일본 혼가쿠지(本岳寺) 소장 ‘석가탄생도’. [사진 호암미술관]

바로 옆 ‘석가출가도’에는 태자의 출가를 알고 슬퍼하는 아버지와 아내의 모습이 담겼다. 독일 쾰른 동아시아미술관에서 왔다. 이란성 쌍둥이 같은 이 조선 불화 두 점은 한 세트였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 불화의 규범 같은 이 두 점이 어떻게 이국땅으로 흩어졌는지는 확실치 않다. 귀향해 사상 처음으로 나란히 걸렸지만, 단 40일 동안이다. ‘석가탄생도’는 5월 5일까지 전시된 후 일본으로 돌아간다.

과연 불교는 여성을 어떻게 바라봤을까. 또 여성은 어떤 가능성을 봤기에 불교에 귀의했을까. 이번 전시 기획은 이 두 질문에서 출발했다. 새로운 미술은 후원자 없이 생겨날 수 없다. 불상·불화를 조성하며 과정과 염원을 적은 발원문에는 여성들 이름이 빼곡하다. 공식적인 역사서나 불교 문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이름이다.

독일 쾰른 동아시아미술관 소장 ‘석가출가도’의 부분. 석가의 출가 소식을 들은 왕과 왕비가 슬피 울고 있다. [사진 호암미술관]

독일 쾰른 동아시아미술관 소장 ‘석가출가도’의 부분. 석가의 출가 소식을 들은 왕과 왕비가 슬피 울고 있다. [사진 호암미술관]

불교는 “만물에 부처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가르치면서도, 여성은 선천적으로 자질이 부족해 성불할 수 없는 몸으로 여겼다. 그래서일까. ‘감지금니 묘법연화경’을 만든 고려 여인 김씨는 이런 발원문을 남겼다.

‘저는 이전 겁의 불행으로 여자의 몸을 받았으니… 참으로 한탄스러울 뿐입니다. 이로 인하여 은 글자로 쓴 화엄경 1부와 금 글자로 쓴 법화경 1부를 만드는 정성스런 소원을 간절히 내어, 이제 일을 끝마치었습니다’.

불전도(석가모니 일생을 풀어낸 그림) 속 어머니로 묘사된 여성, 집착과 정념의 근원으로 간주한 여성의 몸, 여성의 형상으로 나타난 관음보살 등 불교 미술 속 여성의 모습을 모은 1층 전시장을 지나 2층 전시장에 들어서면 숭유억불책 속에서도 불교를 지지했던 왕실 여성들이 만든 불상·불화, 머리카락을 바쳐 불보살(부처와 보살)의 형상을 수놓은 자수 불화를 볼 수 있다.

전시는 27일부터 6월 16일까지. 성인 1만4000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