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더 심해진 수도권 경제력 집중…지방은 잠재력↓, 소비 부진↑

중앙일보

입력

이달 초 서울 중구의 명동 쇼핑 거리. 연합뉴스

이달 초 서울 중구의 명동 쇼핑 거리. 연합뉴스

이른바 '수도권 공화국'을 상징하는 경제력 집중 현상이 2015년 이후로 더 심해졌다는 한국은행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는 저출산 등 구조적 문제로 이어지는 만큼 비수도권의 성장 잠재력을 키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5일 한은이 발표한 '생산·소득·소비 통계로 본 지역경제 현황' 보고서는 2015년 전후 기간(2001~2014년·2015~2022년)을 나눈 뒤 지역별 경제 성적표를 비교 평가했다. 2015년은 전국 생산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처음 넘긴 해다.

우선 지역내총생산(GRDP)을 살펴봤더니 대다수 지역의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만 수도권·비수도권의 차이는 뚜렷했다. 서울·경기 등 수도권은 2015년 이후 성장률이 이전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비수도권 지역 대부분은 성장률이 3%포인트 이상 크게 떨어졌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전국 경제성장률 기여율은 2001~2014년 51.6%에서 2015~2022년 70.1%로 급등했다. 그만큼 수도권에 대한 '생산' 의존도가 높아졌다는 의미다.

여기엔 주력 제조업 성과가 크게 작용했다. 수도권은 생산성이 높은 반도체 등 첨단 전자부품 산업 중심으로 제조업 성장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비수도권 주력인 자동차·화학제품·기계 산업 등은 중국과의 경쟁 심화, 생산성 하락 등을 겪으며 휘청였다. 이예림 한은 지역연구지원팀 과장은 "주요 성장산업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비수도권의 성장 잠재력은 약화했다"고 밝혔다.

개인소득은 2015년 이후 대다수 지역에서 증가세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역별 1인당 개인소득 격차는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광역시 이상 대도시와 도(道) 지역 간의 차이가 축소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이는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았던 도 지역의 소득 증가율이 대도시보다 덜 둔화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민간소비는 소득과 다른 움직임을 보였다. 2015년 이후 도 지역 소비 증가율이 대도시보다 빠르게 둔화하면서 두 곳 간의 소비 수준 격차가 확대됐다. 청년 인구의 수도권 등 대도시 이동에 따른 고령화 가속, 소비 인프라 부족이 영향을 미쳤다. 도 단위 중심으로 또 다른 성장 동력인 소비 '엔진'이 꺼지면서 지방의 추락을 부추긴 셈이다.

한 시민이 두손 가득 쇼핑백을 든 모습. 연합뉴스

한 시민이 두손 가득 쇼핑백을 든 모습. 연합뉴스

이러한 수도권 집중과 함께 출생 지표도 내리막을 걷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1.24명이던 출산율은 지난해 0.72명까지 떨어졌다. 앞서 지난해 말 한은은 '수도권 청년 쏠림'으로 줄어든 전국 출생아 수가 한해 4800명(2021년 기준)에 이른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를 두고 비수도권의 자생력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이예림 과장은 "비수도권 인구 유출 등으로 인한 공급·수요 둔화에 대응해야 한다. 재정 부담 등을 고려해 지역 특성에 따른 선택과 집중으로 비수도권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한은은 지역경제보고서를 통해 올 1분기 전국 지역경제 상황이 지난해 4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권역별로는 동남권(부산·울산·경남) 상황이 다소 나빠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재원 한은 지역경제조사팀장은 "동남권은 제조업·서비스업 생산이 모두 소폭 감소했다. 자동차·철강·기계장비와 숙박음식점·도소매 등이 감소한 게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향후 지역경제는 1분기보다 다소 좋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제조업 생산 성장세가 이어지지만, 서비스업은 부동산 부진 등으로 보합 수준에 머무를 전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