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작고 46년 만에 박목월 미발표 시 166편 공개…'나그네'와 다른 매력있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아버님께서 하늘에서 '뭐하러 했노?' 그러실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겁도 납니다."

'나그네', '청노루' 등의 대표작을 남긴 박목월 시인(1915~1978)의 장남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85)는 부친이 남긴 미발표시 166편을 공개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국문학자인 박 교수는 부친이 남긴 노트 80권에 담긴 미발표 작품을 후배 학자들과 함께 추려 이날 공개했다. 박목월 시인 타계 46년 만이다.

박목월 시인의 장남인 박동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박목월 시인 미발표 육필 시 공개 기자회견에 앞서 박목월 시인 육필 시 노트를 들어보이고 있다.   이날 박목월 유작품 발간위원회는 박동규 교수 자택에서 발견된 박목월 시인 미발표 시 290편 가운데 166편을 선별해 공개했다. 연합뉴스

박목월 시인의 장남인 박동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박목월 시인 미발표 육필 시 공개 기자회견에 앞서 박목월 시인 육필 시 노트를 들어보이고 있다. 이날 박목월 유작품 발간위원회는 박동규 교수 자택에서 발견된 박목월 시인 미발표 시 290편 가운데 166편을 선별해 공개했다. 연합뉴스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는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동규 교수가 자택에 소장한 노트 62권과 경주 동리목월문학관에 보관된 18권의 노트에 담긴 미발표시 290편 중 완성도가 높고 주제 의식이 기존과 다른 166편을 추려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작품은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가 자택에 소장한 노트 62권과 경주 동리목월문학관에 보관된 18권의 노트에 쓰인 시 290편 중 일부다. 발간위는 "완성도와 주제의식의 다양성을 고려해 166편을 추렸다"고 했다. 연합뉴스

이날 공개된 작품은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가 자택에 소장한 노트 62권과 경주 동리목월문학관에 보관된 18권의 노트에 쓰인 시 290편 중 일부다. 발간위는 "완성도와 주제의식의 다양성을 고려해 166편을 추렸다"고 했다. 연합뉴스

발굴 작업은 박동규 교수의 제자인 우정권 단국대 교수의 궁금증에서 시작됐다. 우 교수는 "박 교수님 댁 한구석의 보자기에 싸인 노트에 대한 의문이 영원한 숙제처럼 남아 있었다. 지난해 4월 선생님께 보여 달라고 청했다"며 "(박목월 시인의)미발표작임을 알고 그해 8월 동료 학자들과 발간위원회를 꾸려 6개월 간 기존 출간작과 대조하고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부친 사후 46년 만에 작품을 공개한 이유에 대해 박 교수는 "아버지가 발표를 원치 않은 작품도 있을 텐데 시인 전반의 생애를 보는 데 이 자료가 필요해 보이고, 학자들에게 평가 받아 보자는 생각으로 공개하게 됐다"고 했다. 우 교수 외에 방민호 서울대 교수, 유성호 한양대 교수 등이 발간위에 참여했다.

"창작 노트들이 잘 보관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어머니 덕"이라는 게 박 교수의 회고다. 고(故) 유익순 여사는 경주, 대구, 서울로 이사를 다니고 한국전쟁 때 피란을 겪으면서도 시인의 노트를 보따리에 싸매고 다녔다.

"시인의 아내로서 이 노트들을 잘 보관해야겠다는 일념이셨지요. 부친이 작고하신 뒤에도 20년 동안 장롱 밑에 잘 넣어두셨어요. 저는 아무것도 한 게 없습니다."

미발표 시는 시인이 등단한 1930년대에서 타계한 1970년대 사이 쓰인 것으로 그의 작품 세계를 총망라한다. 1950년대의 제주를 소재로 한 시들, 1960년대 사람들의 일상적 삶을 노래한 작품, 역사적 격동기였던 해방과 한국전쟁 등에 대해 작고 직전까지 쓴 시편들이 포함됐다. 그 밖에도 기독교 신앙을 고백하거나 가족에 대한 사랑, 가장으로서 겪는 어려움을 노래한 시들이 두루 공개됐다.

우 교수는 "박목월 시인은 자연에 대한 목가적이고 서정적인 시를 써온 것으로 알려졌지만 새로 발굴된 작품 속에는 그간 찾아보기 어려웠던 한국전쟁의 참혹함이나 해방의 기쁨 등 시대상을 담은 작품, 현실 감각을 드러낸 작품이 많다"고 설명했다.

박목월의 ‘슈샨 보오이’는 한국전쟁 이후 새 삶을 일궈가는 구두닦이 소년의 모습을 그린 시다. 사진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

박목월의 ‘슈샨 보오이’는 한국전쟁 이후 새 삶을 일궈가는 구두닦이 소년의 모습을 그린 시다. 사진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

구두닦이 소년의 모습을 그린 ‘슈샨 보오이’가 대표적이다.

‘6.25때/엄마 아빠가 다 돌아가신/슈샨보이./길모퉁이의 구두를 닦는 슈샨·보이.//(중략) 이밤에 어디서 자나 슈샨·보이/비가 오는데, 잠자리나 마련 했을가. 슈샨·보이/누구가 학교를 보내주는 분이 없을가. 슈샨·보이/아아 눈이 동그랗게 아름다운 그애 슈샨 보이/학교 길에 내일도 만날가 그애 슈샨보이.’

유성호 한양대 교수는 어눌하게 살아가는 시인 자신과 용설란을 동일시하며 타향살이의 쓸쓸함을 제시한 작품 '용설란'을 걸작으로 꼽았다.

'파도소리에 뜰이 흔들리는/그 뜰에 용설란//반쯤 달빛에 풀리고/반쯤 달빛에 빛나는 육중한 잎새//(중략) 어눌한 사투리로 가까스로 몸매를/빚어,//안개에 반쯤 풀리고/안개에 반쯤 살아나는 용설란.'

발간위는 이번에 공개한 작품을 활용해 전집과 평전을 내고 시낭송회와 뮤지컬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