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정부 '장기전' 대비한다…'전공의 공백' 비대면 강화, 간호사 투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공의 집단이탈이 2주째 이어진 4일 대구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공의 집단이탈이 2주째 이어진 4일 대구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단체행동에 나선 전공의들의 복귀 움직임이 미미한 가운데, 정부가 사태의 장기화에 대비해 추가 대응에 나섰다.

보건복지부는 전공의 공백 상황이 길어질 거로 보고 의료 현장의 혼란을 줄이는 데 역량을 모으고 있다. 대응 방안은 크게 ▶응급대응체계 강화 ▶비대면 진료 전면 허용 ▶예비재원 투입 ▶간호사 역할 확대 등 4가지다.

복지부는 우선 서울·대전·대구·광주 4개 권역에서 ‘긴급대응 응급의료상황실’ 운영을 시작한다. 응급환자가 적절한 의료기관으로 신속하게 이송돼 제때 치료받을 수 있도록 조율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복지부는 지난달 23일부터 비대면 진료를 전면 확대했다. 대형병원 환자를 병원급 혹은 의원급 의료기관의 비대면 진료로 흡수하려는 의도에서다. 의료취약 지역이 아닌 곳에서도 ‘평일’에, 의원뿐 아니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가능하도록 비대면 진료를 개방했다. 전면 확대 이후 비대면 진료 이용 건수는 2배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또 병원에서 대체인력을 채용하고 공공병원 운영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재정을 지원하기로 했다. 오는 6일 국무회의에서 예비비가 결정되는데, 약 1200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전공의들의 역할을 일부 대신하고 있는 간호사에 대한 법적 보호도 강화하기로 했다. 지난달 26일 복지부는 ‘진료지원인력 시범사업’을 시작하고 간호사가 수행할 수 있는 업무의 범위는 의료기관의 장이 내부 위원회를 구성하거나 간호부서장과 협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당장 응급·중증 의료에서 큰 구멍은 발생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전공의 집단행동 중 경증환자가 대형병원 응급실 대신 동네 의원이나 병원을 찾는 분위기도 확산하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2월 29일 응급실에 내원한 경증환자 수는 2월 1일~7일 평균 대비 30% 감소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