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녘 명산 ‘칠보산’…한국·미국서 동시에 거닌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10폭 병풍에 함경북도 명승의 풍광을 담은 19세기 작품 ‘칠보산도’. [사진 클리블랜드 미술관]

10폭 병풍에 함경북도 명승의 풍광을 담은 19세기 작품 ‘칠보산도’. [사진 클리블랜드 미술관]

함경북도 명천군에 위치한 칠보산. ‘함북 금강’이라고 불리며 조선 후기엔 진경산수화로 꾸준히 그려진 명산이다. 영조 때 실학자 이중환은 『택리지』(1751)에서 “명천에 있는 칠보산이 동해 가에 위치하여 골짜기에 들면 바위의 형세가 깎아지른 듯하며 기묘하게 조각된 형상이 거의 귀신 솜씨인 듯하다”고 묘사하기도 했다.

오는 15일(현지시간)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미술관 텍스타일 갤러리에서 칠보산을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9월 29일까지). 미술관이 소장한 10폭짜리 19세기 조선 병풍 ‘칠보산도병’을 실감영상으로 구현해 세로 3m, 가로 15m 벽면 패널에 펼치는 몰입형 전시다. 같은 기간 서울 경복궁 내 국립고궁박물관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한·미 간 1만㎞ 거리를 뛰어넘는 실시간 동시 체험이다.

10폭 병풍에 함경북도 명승의 풍광을 담은 19세기 작품 ‘칠보산도’(위 사진)를 디지털 실감 영상으로 재현해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과 한국 국립고궁박물관이 동시 공개한다. [사진 클리블랜드 미술관]

10폭 병풍에 함경북도 명승의 풍광을 담은 19세기 작품 ‘칠보산도’(위 사진)를 디지털 실감 영상으로 재현해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과 한국 국립고궁박물관이 동시 공개한다. [사진 클리블랜드 미술관]

그간 한국 문화유산 소재의 몰입형 전시가 해외 전시장에 선보인 적은 있지만 해외 미술관 소장품을 소재로 진행하는 것은 처음. 문화재청 산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해외 소재 문화유산을 조사하면서 이를 디지털 아카이브로 축적한 게 기반이 됐다. 클리블랜드 미술관에서 2015년부터 근무해온 임수아(49) 큐레이터의 노력도 컸다. 지난달 26일 화상인터뷰로 그를 만났다.

임수아

임수아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에 속하는 칠보산도가 디지털 체험과 잘 맞아떨어지는 데다 남북 분단으로 인해 더는 갈 수 없는 곳이라 한국에도 미국에도 의미가 크다고 봤다”고 임 연구관이 말했다. 이와 함께 1일부터 한국실에선 칠보산도병을 포함한 조선 전·후기 산수화 7점이 상설전 속의 특별전 형태로 선보이고 있다. 미술관이 소장한 ‘산시청람도’(16세기 초), ‘한림제설도’(김시, 1584년), ‘평양도병’(김윤보, 19세기 말) 등이다. ‘From Dreaming to Hiking: Korean Landscape Paintings’(꿈에서 유람으로: 한국 산수화)라는 전시 제목이 칠보산도의 특징까지 일러준다.

“진경산수화라는 게 조선 전기의 관념산수화에서 벗어나 우리 강산을 실제 유람하고 그린 건데, 그걸 미국인들에게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단어가 ‘하이킹’이잖아요. 클리블랜드에도 산이 많아서 하이킹을 많이 하고요. 10분 실감영상 체험이 엔터테인먼트로 끝나지 않고 실제 유물인 칠보산도병 감상으로 이어지게끔 구상했어요.”

해발 894m의 함북 칠보산은 16세기 들어 조선 문인들의 주목을 받고 17세기 중반 이후 이를 묘사한 글과 그림이 이어지다가 18세기 들어 ‘북관십경’의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19세기에는 아예 칠보산만 별도로 그린 8폭 또는 10폭 병풍이 생산됐는데 그만큼 이 산의 유람 수요가 커졌단 뜻이다.

세밀하고 웅장한 필치가 돋보이는 클리블랜드의 병풍은 “17세기 중반부터 200년 이상 이어온 칠보산도의 역사 속에서 축적된 자양분을 모두 흡수한 결정판에 가깝다”(박정애, ‘조선시대 칠보산 유람풍조와 칠보산도 연구’, 2015)는 평가다. 임 연구관은 “북한의 명승 유물을 미국에서 소개하고 이를 서울에서 실감영상으로 보여주는 것 자체가 우리 역사의 복잡한 상황을 환기시킬 수 있다는 걸 미술관 측이 참신하다고 받아들였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