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혼인건수 10년새 32만→19만…결혼 안 하고 애도 안 낳는다

중앙일보

입력

사진 pxhere

사진 pxhere

최근 10년 새 혼인 건수가 4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 건수가 감소함에 따라 출생아 수도 크게 줄었다.

3일 통계청의 '2023년 12월 인구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잠정치)는 19만3673건이었다. 10년 전인 2013년(32만2807건)보다 40.0% 감소한 수치다.

2012년부터 하락세로 접어든 혼인 건수는 2022년까지 연속해 줄어들다가 지난해 코로나19로 미뤄왔던 결혼이 진행된 영향 등으로 소폭 늘었다. 그러나 향후에도 혼인의 증가세가 유지될 지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혼인 건수가 큰 폭으로 감소한 데에는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가 배경으로 꼽힌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13세 이상 인구 중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2년 20.3%에서 2022년 15.3%로 감소했다. '결혼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42.4%에서 34.8%로 줄었다. 같은 기간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33.6%에서 43.2%까지 늘었다.

주거 마련 등 경제적인 이유도 결혼의 장벽이 되고 있다. 결혼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2022년 20대의 32.7%, 30대의 33.7%, 40대의 23.8%가 '혼수비용·주거 마련 등 결혼자금이 부족해서'를 꼽았다.

이어 20대(19.3%)와 40대(15.4%)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30대는 '결혼하고 싶은 상대를 만나지 못해서'(14.2%)와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4.2%) 등을 언급했다.

혼인 건수 감소는 출생아 수 하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출생아 수는 2015년 43만8420명을 기록한 뒤 8년째 줄고 있다. 2012년부터 혼인 건수가 줄어들기 시작했는데, 4년 뒤 출생아 수도 감소하기 시작한 것이다.

출생아 수는 2013년 43만6455명에서 지난해 23만명으로 47.3%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