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출산율 0.72명, 비교대상 없는 '세계 꼴찌'...올핸 0.6명대 될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또 떨어졌다. 0.72명. 유례없는 저출산이다. 세계에서도 처음 있는 일이다. 비슷한 수준의 국가도 없다. 출산율 하락 속도도 이전보다 더 빨라졌다.

출산율 하락 속도 가팔라져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출생‧사망 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전년(24만9200명)보다 1만9200명(7.7%) 감소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2022년 0.78명에서 지난해 0.72명으로 떨어졌다. 남녀 100쌍(200명)이 72명만 낳는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인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출산율을 2.1명으로 본다.

저출산에 브레이크는 없다. 오히려 가속페달만 더 세게 밟는 모양새다. 2021년과 2022년엔 전년 대비 출생아 수 감소율이 각각 4.3%와 4.4%였다. 2016~2020년까지 연간 감소율 7~11%대를 기록하던 것보다 낮아지면서 저출생 속도가 둔화하는 듯했다. 그러나 지난해 감소 폭이 7.7%로 커지면서 그런 희망마저 꺾었다. 코로나19 유행마저도 지난 만큼 “전염병 때문”이라는 저출산 원인 설명도 더는 유효하지 않다.

지난해 12월 서울의 한 공공산후조리원 신생아실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12월 서울의 한 공공산후조리원 신생아실의 모습. 연합뉴스

올해는 0.6명대 예고

이미 최악의 저출산을 겪고 있었는데 바닥 밑엔 또 바닥이 있다. 지난해 4분기만 보면 합계출산율은 0.65명이었다. 분기 기준 출산율이 0.6명대를 기록한 건 처음이다. 최근까지도 저출산이 이어졌다는 뜻이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 장래인구추계에서 올해는 0.68명으로 예상했다”며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0.6명대로는 떨어지지 않을 거라 봤는데 분기 단위에서 0.6명대가 나오는 등 현실로 다가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국제 비교는 무의미한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의 평균 출산율은 1.58명(2021년 기준)이다. 프랑스(1.8명), 미국(1.66명) 등 경제규모가 한국보다 큰 나라도 0.72명의 2배 넘는 출산율을 유지하고 있다. 일찌감치 저출산 위기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합계출산율도 1.3명으로 한국보다 월등히 높다. 한국 다음으로 출산율이 낮은 건 스페인인데 이마저도 1.19명에 달한다. 한국으로선 꿈꾸기도 어려운 숫자다.

출산연령 늦어지고, 둘·셋째 급감 

어머니 기준 평균 출산연령은 33.6세로, 전년(33.5세)보다 0.1세 높아졌다.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은 36.3%로 1년 새 0.6%포인트 늘었다. 특히 첫째 출산 연령이 33세에 달했다. 역시 OECD 회원국 중 가장 많은 나이다. 출산 연령이 늦어지다 보니 둘째‧셋째 비중이 급격히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첫째 아이는 13만8300명으로 1년 전보다 6700명(4.6%) 줄었는데 둘째는 감소 폭이 11.4%(9500명), 셋째 이상은 14.5%(2900명)에 달했다. 하나도 잘 안 낳는데, 둘 이상은 더 안 낳았다는 뜻이다.

27일 서울 도봉구 도봉고에서 관계자가 교내 폐품을 정리하고 있다. 도봉고는 학생 수 감소로 다음 달 1일 페교를 앞두고 있다.   뉴스1

27일 서울 도봉구 도봉고에서 관계자가 교내 폐품을 정리하고 있다. 도봉고는 학생 수 감소로 다음 달 1일 페교를 앞두고 있다. 뉴스1

세종마저 출산율 1명대 깨졌다

수도권 쏠림과 이로 인한 과도한 경쟁,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이 출생아 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 출산율 전국 꼴찌인 서울의 지난해 출산율은 0.55명으로, 전년(0.59명)보다 0.04명 하락했다. 부산(0.66명), 인천(0.69명) 등이 뒤를 이었다. 그나마 합계출산율이 2022년에 1.12명으로 유일하게 1명을 넘었던 세종마저 지난해 0.97명으로 떨어졌다. 이제 전국 광역시‧도 중 출산율이 1명을 넘는 곳은 한 군데도 남지 않았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인구 쇼크’는 피해갈 수 없는 현실로 다가왔다. 지난해 말 한국의 인구는 5132만5000명이다. 1년간 태어난 아이는 전체 인구의 0.4% 수준에 불과하다. 한해 100만명씩 태어난 베이비부머 세대가 고령층에 진입하는 등 고령화 속도는 가팔라지는데 저출생 현상은 계속되다 보니 새로 태어나는 세대의 부양 의무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는 2022년 24.4명에서 2036년 60명을 넘고, 2072년엔 104.2명까지 증가한다.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집값·양육비 부담은 낮은 출산율의 이유가 되긴 하지만, 지금처럼 가파른 하락세를 설명하기엔 부족하다. 정서적으로 젊은 세대가 출산을 거부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며 “가정이 행복하다고 느낄 수 있게 인식 전환 노력을 하고, 동시에 축소 사회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노동력은 부족해지고, 대학 정원은 채울 수 없고, 연금도 감당할 수 없게 될 텐데 이에 대한 개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