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국의대교수협의회 “2000명 근거 대체 뭔가…정부가 대화 물꼬 터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의 집단 이탈이 지속되면서 전국 의료 현장이 혼란을 빚고 있다. 지난 25일 대전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 밖에서 한 대원이 환자를 구급차에 태우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의 집단 이탈이 지속되면서 전국 의료 현장이 혼란을 빚고 있다. 지난 25일 대전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 밖에서 한 대원이 환자를 구급차에 태우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의과대학 증원을 둘러싼 의·정 갈등이 평행선을 달리는 와중에 전국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가 26일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지만,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2000명’ 증원을 굽히지 않는 정부와 ‘원점 재논의’를 주장하는 의사단체, 집단행동에 들어간 전공의 등 대립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재자로 의대 교수들이 나서야 한다는 역할론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전국 40개 의대 교수협의회장이 소속된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인 김창수 연세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이날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의협이나 전공의협의회가 우리에게 역할을 요청한다면 기꺼이 응하겠지만, 그 전에 독자적으로 나서는 것은 원칙에 맞지 않는다”면서, 현재 대치를 풀기 위해서는 “정부가 먼저 (대화의) 물꼬를 터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이날 총회 전후 김 위원장과의 통화를 정리한 일문일답.

오늘 회의에서 어떤 논의가 오갔나.
1시간 반 동안 현안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뤄졌다. 주로 전공의들이 빠져나간 진료 공백을 교수들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앞으로 어떻게 상황을 풀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이야기였다.  
얼마나 견딜 수 있을 것으로 보나.
과마다 상황이 많이 다르다. 흉부외과와 같이 2차 병원에서 하기 어려운 중증 수술을 담당하는 과에는 업무 부담이 많이 걸리고 있다. 야간 당직을 다 교수들이 해야 되는데,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말들이 있었다. 피로도가 누적돼 2주 안에 문제 생길 것 같다는 병원도 있었다.
현 상황을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어떤 이야기가 나왔나.
여러 논의가 많았지만, 결의되거나 한 것은 없다. ‘대체 2000명이라는 숫자의 근거가 어디에 있는지 좀 알고 싶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 결국 힘 센 쪽, 정부가 물꼬를 터야 한다고 본다. ‘2000명’을 조정할 수 있다는 전제 조건이 있어야 논의가 시작될 수 있다.
일각에선 교수들도 ‘겸직 해제’ 방식으로 단체행동에 참여하겠다고 했는데.
일부 의대에서 논의가 됐다고는 하나, 대다수가 고려하는 방식은 전혀 아니다. 대학병원이 생명을 다투는 환자를 보는 곳인데, 교수들이 어떻게 나가겠나.
교수협의회가 정부와 의사단체 간 중재자로 나설 생각은 없나.
의협이나 전공의들 쪽에서 우리 역할에 대한 요청이 있다면 기꺼이 참여하겠지만, 그 전에 우리가 독자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원칙에 맞지 않는다. 교수들은 현재 상황과 관련된 집단이긴 하나, 직접 사직을 하거나 정부로부터 소송을 당한 당사자들이 아니지 않나.
정부는 의료계에 “대표성을 갖춰 대화 테이블에 나와달라(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고 했는데.  
그건 (대화를) 안 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대표성’이라는 것의 정의부터 모호하다. (의료계) 모든 직역을 대표해야 한다면 병원 경영자인 병원협회도 들어와야 하나. 그렇게 대표성을 따지기 시작하면 또 혼란이 생긴다. 현재 정부가 고발하고 있는 대상이 전공의와 의협이라면, 당연히 그들이 주체고 그들과 대화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