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창용 "상반기 금리 인하 쉽지 않아…美 피벗 땐 정책 차별화" [일문일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상반기 내 금리 인하는 쉽지 않을 것”이란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22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연 3.5%)를 9연속 동결한 배경을 설명하면서다. 이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2%)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에는 아직 이른 상황인 점, 섣부른 기준금리 인하가 가계부채 증가세와 집값 상승 심리를 자극할 수 있는 점 등을 들었다.

이날 이 총재는 “미국과 한국의 금리 정책이 기계적으로 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미국이 금리를 낮추기 시작하거나 물가가 잡히면 각국이 인플레이션 상황에 따라 차별화된 움직임을 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다음은 일문일답.

금통위원들의 3개월 이내 금리 전망은. 지난달에는 총재 사견을 전제로 “6개월 이상은 기준금리 인하가 쉽지 않다”는 언급도 했었는데 해당 견해에 변동 있나.
“향후 3개월 금리 전망에 대해서는 저를 제외한 여섯 분 중 다섯 분이 3개월 후에도 3.5%를 유지하는 게 적절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나머지 한 분은 3.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다. 다섯 분은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2%(목표치)보다 높고 앞으로 물가가 전망대로 둔화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서 아직은 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는 의견이다. 나머지 한 분은 소비가 당초 전망보다 부진해서 물가 상승 압력이 약화할 것으로 보고 있고, 내수 부진도 사전적으로 대비해야 해서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다.”
“2월 경제전망이 11월 전망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경우에 6개월 이상 기준금리 인하가 쉽지 않다는 뜻이었는데, 2월 전망이 11월 전망과 크게 다르지 않아서 상반기 내에는 금리 인하가 쉽지 않을 것이란 의견을 유지한다.”  
최장기 금리 동결 기록(기존 2016.6~2017.11, 1년 5개월 21일)을 깰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는데 부담은 없나,
“금리를 올리고 내리는 것만큼 동결도 어렵다. 많은 분이 동결은 가만히 있으면 되는 것으로, 많은 고민 안 한다고 생각하는데 동결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논의 역시 인상‧인하 논의만큼 어렵다. 물가 경로가 예상대로 떨어지는 쪽으로 가면 정책 여력이 넓어지는 것이고, 그렇지 않을 경우 다른 방법도 생각해야 한다. ‘최장이냐, 아니냐’와 관계없이 물가 떨어지는 속도나 모양이 우리 예상대로 되는지를 보고 판단하겠다.”
섣부른 기준금리 인하가 부동산 가격 상승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을 그간 많이 우려했는데.
“주택가격과 거래 추이를 보는 것은 가계부채와 관련이 있어서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 경제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가 부동산에 자금이 쏠려있다는 점이다. 투자가 부동산으로 쏠리고 관심이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가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금리 정책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다만 금리 정책을 잘못해서 부동산 가격을 인위적으로 올려서 (가계부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것은 한국은행이 해서는 안 되는 역할이다. 금리 정책을 잘못해서 부동산 가격 다시 올리는 일은 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한은이 Fed보다 더 먼저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도 있나.
“(한은이 먼저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이자율 격차(현재 2%포인트)가 더 벌어지는 문제를 고민 많이 하는데. 이자율 격차와 환율이 기계적으로 자본 이동(유출)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어서 미국과 우리 금리 정책이 기계적으로 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지난해와 재작년에는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굉장히 빠르고 유가도 같이 올라가는 분위기라 금리 따라가는 입장이 불가피했다. 이제는 미국이 피벗(pivot‧통화정책 전환)을 시작하면, 언제 할지는 모르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 각국이 자기의 인플레이션에 따라 차별화된 통화정책을 할 가능성이 커진다. 미국의 통화정책이 우리 외환시장, 국내 경기 등에 주는 영향까지 종합해 판단해서 결정하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