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공무원 그만두고 3년째 전문직 공부…"그래도 이게 이득"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주말인 18일 서울 강남의 한 로스쿨 준비학원. 수업이 끝나자 5평(16.5㎡) 남짓한 강의실에서 20여명이 우르르 나왔다. 주말은 특강, 평일은 과목별 수업이 진행되는데 평일엔 대형 강의실 150석이 가득 찬다. 영상 콘텐트 제작 일을 하다가, 지난해 11월부터 법학적성시험(LEET) 공부를 시작한 김모(27)씨도 특강을 듣기 위해 학원을 찾았다. 김씨는 “공무원이나 다른 시험을 준비할 수도 있다지만, 소득 측면에서 아무래도 로스쿨을 나와 변호사가 되는 게 가장 좋을 거 같더라”고 말했다.

15일 오후 5시 한산한 노량진 컵밥거리.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 줄면서 이날 영업 중인 노점상은 19곳 중 10곳에 불과했다. 정진호 기자

15일 오후 5시 한산한 노량진 컵밥거리.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 줄면서 이날 영업 중인 노점상은 19곳 중 10곳에 불과했다. 정진호 기자

15일 노량진 컵밥거리는 저녁이 가까운 시간에도 한산했다. 컵밥거리에 늘어선 노점상 19곳 중 절반이 넘는 10곳이 문을 닫았다. 공무원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노량진을 찾는 수험생이 줄어든 영향이다. 대형 공무원학원 관계자는 “2022년을 시작으로 수강생이 매년 가파르게 줄고 있다. 2021년과 비교하면 지금은 30~40% 감소했는데 다른 학원도 비슷할 것”이라며 “반대로 공인회계사나 세무사 시험 수강생은 증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공무원 그만두고 전문직 준비도

공무원 선호도는 낮아지고, 반대로 전문직 쏠림은 심화하고 있다. 통계로도 나타난다. 20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올해 국가공무원 9급 공채는 4749명을 선발하는데 10만3597명이 지원하면서 경쟁률 21.8 대 1을 기록했다. 1992년(19.2 대 1) 이후 32년 만에 최저치다. 2011년(93.3 대 1)과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이다. 행정고시로 대표되는 5급 공무원 시험도 마찬가지다. 2021년 43.3 대 1이었던 5급 국가공무원 및 외교관후보자 시험 경쟁률은 올해 35.1 대 1을 기록했다. 급수와 관계없이 공직 전반에 대한 인기가 식고 있다는 의미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역설적으로 시험 자체를 준비하는 이들은 늘고 있다. 다만 그 시험이 공무원에서 전문직으로 옮겨갔다.

강원도에서 1년간 9급 공무원으로 근무하다 그만둔 박모(32)씨는 2021년부터 3년째 법무사 시험을 준비 중이다. 박씨는 “공무원으로 일해보니 월급이 세후 200만원이 안 돼서 놀랐고, 그렇다고 일이 적은 것도 아니었다”며 “몇 년 걸리더라도 전문직을 준비하는 게 이득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박씨는 부모님께 용돈을 받으면서 매일 집 앞 도서관을 찾는다. 올해 기획재정부에선 사무관 5명이 차례로 그만뒀는데 그중 4명은 로스쿨, 1명은 치의학전문대학원으로 진학한다.

4개 전문직 지원 역대 최다

로스쿨 입학시험인 법학적성시험(LEET) 지원자는 지난해 1만7360명으로 전년보다 18%(2740명) 급증했다. 역대 최다다. 지난해 세무사·노무사·감정평가사 시험 지원자는 각각 1만6817명, 1만225명, 6484명으로 모두 시험이 생긴 이래 가장 많은 지원자가 몰렸다. 올해 공인회계사(CPA) 시험엔 전년보다 6.1%(974명) 증가한 1만6914명이 지원하면서 1984년 이후 역대 2번째로 많은 수를 기록했다. 법무사의 경우 지난해 7616명이 시험을 신청하면서 2000년 이후 가장 많았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전문직 낭인’ 양산 우려

직업에 있어 시간 투입 대비 보상을 중시하는 MZ세대의 특징이 드러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일한 만큼 성과에 따라 많은 보수를 받는 전문직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반대로 공무원은 급여가 고정돼있다. 이마저도 민간 직역에서의 연봉이 빠르게 늘면서 상대적으로 ‘박봉’이라는 인식이 팽배해졌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최근 젊은 세대는 직업 선택에 있어 안정성과 자율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 측면에서 전문직은 자율성이 높고, 평생 근무가 가능한 만큼 안정성도 공무원보다 우위에 있는 상황”이라며 “전문직은 합격자가 제한되기 때문에 쏠림이 이어지면 과거 고시 낭인처럼 장수생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는 곧 사회적 낭비”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