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장 바꿨는데…아모레·LG생건 ‘중국발 쇼크’에 부진 지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국내 화장품 업계 1, 2위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중국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이어 지난해에도 중국발 악재로 실적이 또 꺾였다. 두 곳 모두 2022년 말 나란히 새로운 수장을 맞이한 이후 첫 성적표라 더욱 뼈 아프다.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데 성공한 중소·중견 화장품 업체들처럼 시장 다변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LG생활건강은 지난해 영업이익(연결기준)이 전년 대비 31.5% 감소한 4870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6조8048억원으로 1년 전보다 5.3% 줄었다. 뷰티(화장품) 사업 영업이익이 1465억원으로 전년 대비 반토막(52.6% 감소) 나며 전체 실적을 끌어내린 영향이다. LG생활건강 측은 “면세와 중국 매출이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고, 해외 구조조정 비용이 반영됐다”라고 설명했다.

전날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44.1% 감소한 152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10.5% 줄어든 4조213억원으로 나타났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은 면세 사업이 쪼그라들며 매출 2조2108억원(14% 감소), 영업이익 1664억원(34% 감소)을 기록했다. 중국 시장의 침체로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사업은 적자 전환했다. 매출은 6% 감소한 1조3918억원, 영업손실은 432억원이다.

양사의 실적 악화는 떠나간 중국 소비자들이 좀체 돌아오지 않고 있어서다. 중국 현지에서는 자국 화장품 선호 현상이 강해지며 K-뷰티에 대한 인기가 예전 같지 않다. 특히 면세점의 큰손 ‘유커(遊客·중국 단체 관광객)’의 수도 눈에 띄게 줄며 국내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다.

두 회사 모두 2022년 말 대표이사를 교체하며 반전을 노렸었다.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은 ‘후’ ‘숨’ ‘오휘’ 등 럭셔리 화장품을 글로벌 브랜드를 육성했던 실무형 전문가,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사장은 해외 비즈니스 확장을 주도한 경영 전략가다. 양사의 수장은 ‘탈중국’과 ‘해외 시장 확대’를 노렸지만, 아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대기업들이 고전을 면치 못한 가운데, 국내 중소·중견 화장품 기업들은 지난해 역대급 실적으로 활짝 웃었다. 전날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지난해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국내 중소기업 수출액 1위 품목은 화장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들은 지난해 54억 달러어치 화장품을 해외에 판매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김민규 중기부 글로벌성장정책과장은 “미국·유럽·일본 등 수출국을 다변화한 것이 효과를 봤다”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