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韓 서해 구름길 생겼다"…천리안위성 포착한 눈구름대 '깜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올해 처음으로 서울에 동파 경계 단계가 발령된 가운데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중부수도사업소 효자가압장에서 직원이 동파된 계량기들을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처음으로 서울에 동파 경계 단계가 발령된 가운데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중부수도사업소 효자가압장에서 직원이 동파된 계량기들을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북극 냉기의 위력이 절정에 달하면서 체감 -20도를 밑도는 냉동고 한파와 함께 남부 지방에는 눈폭탄이 쏟아졌다. 강추위는 25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차가운 북서풍이 따뜻한 서해를 지나면서 눈구름이 생성됐고, 이 눈구름은 충청권 이남 지역에 들어와 눈폭탄을 뿌렸다. 충남 서해안과 전라권, 제주도 곳곳에는 시간당 1~3㎝ 안팎의 강한 눈이 내리면서 대설 특보가 내려졌다. 이날 오후 3시를 기준으로 전라북도 순창과 정읍은 22.9㎝의 적설을, 제주도 한라산은 24.1㎝를 기록했다.

찬 북서풍이 서해를 지나면서 형성된 거대한 눈구름대가 천리안 2A호에 포착됐다. 사진 기상청

찬 북서풍이 서해를 지나면서 형성된 거대한 눈구름대가 천리안 2A호에 포착됐다. 사진 기상청

한국 천리안위성 2A호에는 북서풍을 따라 형성된 거대한 눈 구름대가 서해 전역을 덮는 모습이 담겼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 기상위성 전문연구기관(CIRA)도 소셜미디어 ‘X’에 “한국 서해에 구름 길(Cloud street)이 생겼다”는 문구와 함께 위성 영상을 소개하기도 했다.

중부 지역에는 -10도 내외의 낮은 기온에 바람까지 불면서 체감 기온이 -20도를 밑도는 얼음장 같은 한파가 덮쳤다. 23일 서울은 체감온도가 -20.9도까지 떨어졌고, 동계청소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도 평창도 체감온도 -28.9도로 매서운 추위를 겪었다.

24일에도 서울 체감 -18도 강추위 

최강 한파가 이어진 23일 오후 서울 용산구의 한 골목길 계단이 꽁꽁 얼어 붙어 있다.뉴스1

최강 한파가 이어진 23일 오후 서울 용산구의 한 골목길 계단이 꽁꽁 얼어 붙어 있다.뉴스1

눈은 24일 오후 대부분 그칠 전망이지만 강추위는 25일까지 맹위를 떨칠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24일 수도권 아침 최저 기온은 -16~-10도, 서울 예상 최저 체감 온도는 -18도로 예보했다. 강원 지역의 아침 최저 기온은 -21~-10도를 기록하겠고, 강원도 평창은 체감온도가 -28도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25일 추위의 기세가 약해지기 시작해 26일에는 전국 기온이 최저 -11~1도, 최고 1~9도로 평년 수준을 회복한다고 예보했다.

극 소용돌이 붕괴와 함께 내려온 제트기류

눈보라를 동반한 폭풍이 미국 아이오와주를 휩쓸고 간 지난 12일 아이오와주 안케니에서 남성들이 눈을 치우는 모습. AFP=연합뉴스

눈보라를 동반한 폭풍이 미국 아이오와주를 휩쓸고 간 지난 12일 아이오와주 안케니에서 남성들이 눈을 치우는 모습. AFP=연합뉴스

태평양 건너 미국에서도 1월 중순부터 열흘 넘게 한파가 지속하면서 22일까지 92명이 사망했다. 13일 미국 북서부 몬태나주(州)는 섭씨 -34도까지 떨어지며 1999년 이래 최저 기온을 기록했고 체감 온도는 -51도에 달했다. 미국 기상청은 "바깥에 있으면 30분 이내에 동상이 걸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눈폭풍과 함께 폭설이 쏟아지며 미시간주에서는 27인치(68.58㎝)의 눈이 쌓였다. 외신들은 아직도 미국 곳곳에서 정전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과 미국의 극한 한파는 북극 공기를 가두는 극 제트기류가 중위도로 내려온 탓에 발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기상학자들은 성층권 하단부에서 나타난 극 소용돌이(Polar Vortex)의 붕괴 현상을 주목하고 있다. 북극 중심부에 위치한 극 소용돌이가 약해지는 동시에 제트기류가 중위도로 내려오면서 한국과 미국 등 북반구 곳곳에 북극의 냉기가 침투했다는 것이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최근 북극의 극 소용돌이가 성층권 하단부에서 나타난 일시적 온난화로 인해 붕괴하는 현상이 포착됐다고 분석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기상학자들의 말을 인용해 “붕괴 강도는 작지만, 이 현상이 미 대륙을 덮은 극한 추위의 발판이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 기상학자들은 북극 기온이 높아질수록 북극 상공의 극 소용돌이도 약해져, 붕괴하는 현상이 앞으로 더 잦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손석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이번 미국의 극한 한파는 유례없이 길게 이어져 그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며 “성층권 일시 온난화가 이번 한파 요인 중 하나는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