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포에 역 7개, 검단에 2개…서울지하철 5호선 조정안 나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8월 경기 김포시 사우역 인근 도로에 걸린 지하철 5호선 연장 촉구 현수막. 뉴스1

지난해 8월 경기 김포시 사우역 인근 도로에 걸린 지하철 5호선 연장 촉구 현수막. 뉴스1

 김포·검단신도시의 교통난 완화를 위해 추진 중인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사업에 대해 정부가 조정안을 내놨다. 노선 형태는 인천시 요구와 유사하면서도 정차역은 김포에 7개, 검단(인천)에 2개를 설치하는 내용이다. 그동안 인천시, 김포시와 노선을 두고 협의를 진행했으나 양측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별다른 진전이 없는 데 따른 것이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 위원장은 19일 “지자체 간 갈등으로 지연되고 있는 서울 5호선 김포 검단 연장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위해 노선조정과 사업비용 분담 방안 등 조정 방안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노선은 이용 수요와 현재·장래 철도망 계획 및 연계성(환승) 등을 고려해 검단신도시에는 2개 정차역만 경유한다.

 또 인천시와 김포시 경계지역에 있는 불로 대곡동 정차역을 김포 감정동으로 옮기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김포시 관내에는 7개 역이, 인천시 관내인 검단에는 2개, 서울 관내에 1개 등 모두 10개의 정차역이 생긴다. 이 중 5개가 인천 1호선이나 김포골드라인 등과 환승이 가능하다.

대광위의 5호선 김포 검단 연장 조정안. 자료 국토교통부

대광위의 5호선 김포 검단 연장 조정안. 자료 국토교통부

 조정안의 연장은 25. 56㎞에 사업비는 모두 3조 700억원으로 추산되며, 해당 구간의 통행시간은 25분 40초가량으로 예상된다. 당초 인천시는 검단지역을 U자형으로 경유하면서 4개 역 설치를, 김포는 검단 우회를 최소화하면서 2개 역 설치를 주장해 왔다.

 연장사업에 필요한 사업비는 각 지역에 소요되는 사업비 비율만큼 검단신도시와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에서 조성되는 광역교통개선대책비에서 분담토록 할 계획이다. 검단지역 사업비는 6714억원, 김포지역 사업비는 2조 2648억원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되면 인천과 김포의 사업비 분담비율은 1대 3.4가량 된다.

 대광위는 또 5호선 연장 조건으로 김포시가 지난 2022년 11월 서울시와 합의한 건설폐기물처리장(건폐장) 이전·수용에 대해 김포시와 인천시가 공동 책임으로 추진하라고 제안했다. 부지 제공 등 역할을 분담하되, 분담 비율 등은 인천시와 김포시가 별도 협의를 거쳐 확정하라는 취지다. 현재 해당 건폐장은 5호선 방화차량기지 인근에 있다.

 자료 국토교통부

자료 국토교통부

 대광위는 후속조치로 2월까지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그동안 중단했던 지자체별 사업타당성 용역도 재개토록 할 계획이다. 이어서 추가 기술검토 및 광역교통 시행계획 변경을 거쳐 이르면 6월께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강희업 위원장은 “지난해 9월부터 전문가·지자체 합동회의, 전문가 현장 방문, 전문가 TF 운영 등을 통해 다양한 대안을 검토했으며 전문기관 분석과 지자체 개별 협의도 거쳐 조정 노선과 비용 분담방안을 마련했다”며 “예타 기간 단축 등 사업 조기 추진 방안은 상반기 중에 재정 당국과 사전에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호선 연장 조정안과 김포,인천시 안 비교. 자료 국토교통부

5호선 연장 조정안과 김포,인천시 안 비교. 자료 국토교통부

 조정안에 대해 김포시는 수용입장을 밝혔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대체로 수용 가능하다”며 “통진 연장, 급행화 추가 등을 통해 5호선 연장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시도 공식적으로 반대를 표명하진 않았다. 다만 “검단신도시 교통편의를 위해 원당역 등 역 추가 설치를 위한 논의가 지속돼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조정안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 반응이다. 최진석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도 “나름대로 대광위에서 조정안을 잘 짠 것 같다”며 “조정안이 지자체 반대로 무산되면 사업이 5~10년 더 미뤄지게 돼 주민 불편이 훨씬 커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장호 한국교통대 철도공학부 교수는 “조정안이 여러모로 양측 절충점을 고민한 결과로 보인다”며 “다만 노선 우회를 최소화했으면 더 좋았겠다는 아쉬움은 있다”고 평가했다. 유정훈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는 “합의점을 찾기 어려운 지자체 간 갈등에 대해 중앙정부가 적극적인 조정안을 낸 건 긍정적”이라면서도 “보다 과감하게 우회 최소화와 직선화 같은 최적 안을 제시하지 못한 부분은 아쉽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