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의용수비대와 함께 독도 지켰다”…제주해녀관, 울릉도에 들어선다

중앙일보

입력

1950년대 독도 서도 물골에 가마니로 숙소를 마련한 제주해녀들이 독도의용수비대와 대화을 나누고 있다. 뉴스1

1950년대 독도 서도 물골에 가마니로 숙소를 마련한 제주해녀들이 독도의용수비대와 대화을 나누고 있다. 뉴스1

70여년 전 독도의용수비대와 함께 독도 어장을 지킨 제주해녀들을 기리는 기념관이 울릉도에 들어선다.

14일 제주도에 따르면 국가보훈부는 경북 울릉군 울릉도에 있는 독도의용수비대 기념관 안에 제주해녀홍보관을 설치·운영키로 했다.

제주해녀들은 1953~1956년 독도 일대에서 원정 물질을 하면서 의용수비대원들과 합심해 독도 수호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제주해녀관 설치 예산으로는 국비 1억3400만원이 배정됐다.

제주해녀, 독도 출향 물질로 어장 수호

1950년대 말 독도에 물질 나간 제주해녀. 연합뉴스

1950년대 말 독도에 물질 나간 제주해녀. 연합뉴스

울릉도 제주해녀관은 고향을 떠나 독도에서 출향(出鄕) 물질을 한 제주해녀를 기리는 공간이다. 해녀들이 해산물 채취를 하는 사진과 영상, 문서, 구술채록집 등을 통해 독도 어장을 지킨 과정을 소개한다. 제주해녀들이 독도에서 활동할 당시 거주시설 모형과 물질 도구 등도 전시된다.

제주도 등에 따르면 제주해녀들은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독도에서 물질을 했다. 독도의용수비대가 독도를 지켰던 1953년부터 1956년까지는 35명 안팎의 제주해녀들이 독도 어장에서 활동했다.

의용수비대가 1954년 독도에 막사를 지을 때는 제주해녀가 건축용 통나무를 운반하고, 수비대에 부식을 전달했다는 기록도 있다.

의용대 막사 건설 지원…부식 전달도  

지난해 10월 23일 경북 울릉군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를 둘러보고 있다. 뉴스1

지난해 10월 23일 경북 울릉군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를 둘러보고 있다. 뉴스1

제주도는 그동안 정부에 제주해녀관 설치를 지속적으로 건의해왔다.
제주해녀들의 독도 물질과 관련한 사진·자료 등에 대한 발굴·검증 작업도 진행 중이다. 제주해녀들이 일본의 독도 침탈 야욕에 맞서 출향 물질을 한 내용은 각종 논문과 언론보도 등을 통해서도 알려져 왔다.

제주해녀관이 들어설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은 2017년 10월 27일 울릉군 북면에 들어섰다. 자발적으로 독도로 건너가 한국의 영토를 지켜낸 의용수비대의 업적을 기리는 공간이다. 이들은 1953년 4월 20일부터 1956년 12월 30일까지 독도에 상륙해 활동했다.

의용수비대, ‘독도 대첩’ 등 日 6차례 격퇴

지난해 10월 20일 경북 울릉군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독도 모형을 보면서 전시 설명을 듣고 있다. 뉴스1

지난해 10월 20일 경북 울릉군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독도 모형을 보면서 전시 설명을 듣고 있다. 뉴스1

독도의용수비대는 울릉도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결성한 독도 수호 단체다. 홍순칠 대장을 비롯한 33명의 청년이 독도에 거주하며 일본의 침탈야욕을 막아냈다. 기록상으론 ‘독도 대첩’을 비롯해 일본의 무장 순시선을 6차례에 걸쳐 물리쳤다.

‘독도 대첩’은 1954년 11월 21일 독도 인근을 침범한 일본의 무장 순시선 두 척을 격퇴한 교전이다. 당시 의용수비대는 박격포의 가늠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일본의 헤꾸라호에 박격포를 명중시켜 승리했다.

독도의용수비대기념사업회는 2013년부터 매년 11월 21일을 ‘독도 대첩일’로 기념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독도의용수비대 기념관에서 69주년 기념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유족들은 이날이 되면 대전 국립현충원 독도의용수비대 묘역에 모여 의용수비대의 활동을 기린다.

독도 실효적 지배 주도…독도경비대 시초

경북 울릉군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에 전시된 '한국령' 표지석. 독도의용수비대가 우리 영토임을 표시하기 위해 독도 절벽에 세워둔 비석 모형이다. 뉴스1

경북 울릉군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에 전시된 '한국령' 표지석. 독도의용수비대가 우리 영토임을 표시하기 위해 독도 절벽에 세워둔 비석 모형이다. 뉴스1

독도의용수비대는 현재 독도경비대의 기반을 닦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독도 암벽에 ‘한국령(韓國領)’이라는 문구를 새겨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알린 것도 이들이다.

또 독도 경비초소와 등대, 막사, 계단 등을 만들어 독도의 영토주권을 강화하는데도 기여했다. 1956년 말 경찰에 수비 업무를 인계할 때까지는 독도에 대한 정부의 실효적 지배 활동을 주도했다.

정재철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제주해녀관이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에 설치되는 것은 독도 수호에 제주해녀들이 기여한 역할을 정부가 인정한 뜻깊은 일”이라며 “앞으로도 제주해녀들의 역사적 활동과 그 가치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선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