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느러미만 자르고 바다로…'잔인 어업' 금지에도 상어 더 죽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태국 피피섬 인근 해역에서 포착된 상어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태국 피피섬 인근 해역에서 포착된 상어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지느러미만 잘라내고 상어를 다시 바다에 던져 죽이는 잔인한 어업 방식을 전 세계적으로 규제했는데도 남획으로 폐사한 상어 수는 오히려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나 나왔다.

캐나다 달하우지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이 11일(현지시각)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어업으로 인해 폐사한 상어의 수는 연간 최소 7600만 마리에서 8000만 마리로 증가했다. 이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약 2500만 마리가 멸종위기종인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기간 상어 혼획(어획 대상종에 섞여서 함께 잡히는 것)을 줄이기 위한 보호 법안이 10배 이상 증가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상어 개체군을 보호하기 위한 규제가 대폭 강화됐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많은 상어 종이 남획으로 인해 사라질 위험에 처한 것이다.

비싼 지느러미나 자르고 산 채로 바다에 버려 

불법 어업으로 인해 압수된 상어 지느러미. AP=연합뉴스

불법 어업으로 인해 압수된 상어 지느러미. AP=연합뉴스

비윤리적인 상어 어업 방식은 오래전부터 국제적으로 논란이 됐다. 많은 어부가 비싼 요리 재료인 샥스핀을 얻기 위해 상어 지느러미만 잘라내고 나머지는 바다에 버렸다. 지느러미가 잘린 채로 바다에 가라앉은 상어는 헤엄치지 못하고 결국 질식해 죽게 된다.

이런 잔인한 상어 어업 방식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2012년 이후부터 관련 규제가 대폭 강화됐다. 2022년을 기준으로 90개 이상의 국가에서 지느러미만 잘라내는 어업 행위를 제한하고 있으며, 어부들은 상어를 통째로 육지로 가져와야 한다.

“지느러미 규제가 고기 시장 창출”

하지만, 연구팀은 이런 규제만으로는 전체 상어 폐사율을 줄이는 데 효과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상어의 완전한 이용을 장려하면서 상어 고기에 대한 추가 시장을 창출해 어획량 증가로 이어졌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를 이끈 보리스 웜 달하우지대 생물학과 교수는 “상어 지느러미 채취를 막기 위한 광범위한 법안이 낭비적인 관행을 막는 데는 성공했지만, 전체적인 사망률을 줄이지는 못했다”며 “여전히 너무 많은 상어가 죽어가고 있으며, 이는 귀상어와 같은 멸종 위기 종에게 특히 걱정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상어 생물학자인 레오나르도 페이토사(UC 산타바바라대)도 “상어 지느러미에 대한 수요는 감소했지만 상어 고기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며 “상어 고기는 다른 종류의 생선을 대체할 수 있는 비교적 저렴한 식품이기 때문에 일부 소비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상어 고기를 먹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속가능한 어업 통해 상어 보호해야

상어 어업에 대한 규제가 모두 효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연구팀은 넓은 해역에서 상어 낚시를 전면 금지한 것이 가장 큰 효과를 봤다고 평가했다. 상어 낚시를 금지하지 않은 지역보다 상어 폐사율이 40% 가까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특정 지역에서 낚시를 금지하거나 어부들이 실수로 잡은 멸종위기종을 방류하도록 요구하는 등 상어 폐사에 대처하는 보다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면 더 많은 상어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피지 바닷속에서 포착된 황소상어. AFP=연합뉴스

피지 바닷속에서 포착된 황소상어. AFP=연합뉴스

최상위 포식자로서 상어는 해양 생태계와 먹이사슬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어 어업은 개발도상국의 해안 지역 사회에도 중요한 식량과 소득원을 제공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어업을 통해 상어 개체 수를 보호하는 게 중요하다. 논문 공동 저자이자 칼튼대 수산과학자인 로렌 쉴러는 사이언스와 인터뷰에서 “우리의 어업이 바다에 상어를 두는 것에 달려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