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70세 이상'인구 사상 첫 20대 추월...전체 인구는 4년 연속 감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대한민국 70대 이상 인구가 사상 처음 20대를 앞질렀다. 전체 인구는 4년 연속 줄었다. 인구 감소와 동시에 고령화 속도도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전체 인구 5132.5만명 #평균 연령 44.8세로 일년새 0.6세↑ #수도권-비수도권 격차 더 벌어지고 #일할 사람은 점점 더 줄어들어 #

행정안전부는 10일 2023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발표했다.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한민국 주민등록 인구는 5132만5329명이다. 전년 말보다 11만3709명(-0.22%) 줄었다. 행안부 측은 “2020년 사상 처음 인구가 감소한 이래 4년 연속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성은 2556만5736명(-7만1215명)으로 5년 연속, 여성은 2575만9593명(-4만2494명)으로 3년 연속 각각 감소했다.

서울시내 한 보건소에 게시된 산모와 신생아 관련 지원사업 관련 포스터의 모습. [뉴스1]

서울시내 한 보건소에 게시된 산모와 신생아 관련 지원사업 관련 포스터의 모습. [뉴스1]

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은 '자연적 요인' 때문이다. 지난해 출생자는 23만5039명, 사망자는 35만3920명이다.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11만8881명 더 많다.

고령화는 더 빨라지고 있다. 한 예로 40대 이하 인구는 2867만9520명으로 전년보다 66만2127명(-2.26%)이 줄었지만, 50대 이상 인구는 2264만5809명으로 54만8418명(2.48%)이 증가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특히 지난해엔 주민등록 인구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70대 이상(631만9402명)이 20대(619만7486명) 인구를 추월했다. 국민 평균 연령도 2022년 44.2세에서 지난해에는 44.8세로 일 년 사이 0.6세가 늘었다.

전체 인구의 17%가 50대

연령대별로는 50대가 869만5699명(16.94%)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40대(15.44%), 60대(14.87%), 30대(12.81%) 순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미래 세대인 10대(9.06%)와 10대 미만(6.49%) 세대 비중은 각각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최근 저출산 영향이 인구구성에도 고스란히 반영된 셈이다.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이와 함께 17개 광역시·도 중 전남(65세 이상 26.1%)과 경북(24.68%)·전북(24.11%)·강원(23.99%)·부산(22.63%)·충남(21.34%)·충북(20.85%)·경남(20.6%) 등 8곳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과 경남 2곳이 지난해 새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국제연합(UN)은 65세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군 지역 중 94%가 초고령사회

특히 ’노인만 있는 시골‘ 현상이 두드러졌다. 전국의 군(郡) 단위 기초자치단체 82곳 중 77곳(93.9%)은 초고령사회로 파악됐다. 나머지 5곳도 고령사회였다. 반면 도시권이 많은 구(區) 지역(69개) 중 초고령사회인 기초지자체는 28곳(40.58%)에 그쳤다. 상대적으로 젊은 인구가 더 많다는 의미다.

우울한 소식은 또 있다. 지난해 수도권(50.69%)과 비수도권(49.31%) 간 인구 격차가 사상 최대인 70만3201명으로 벌어졌다.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을 넘어선 건 2019년부터다. 특히 경기도(4만1389명·0.3% 증가)와 인천광역시(3만96명·1.01% 증가)는 광역지자체 중 가장 많이 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서울시의 지난해 주민등록 인구는 939만여명으로 4만2338명(-0.45%)이 줄었다. 비싼 집값 등으로 인한 전출자가 3만1554명에 달해서다.

일할 사람은 계속해서 줄어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지속하면서 '생산가능인구(15~64세)'와 '핵심 생산가능인구(25~49세)'가 줄고 있다. 생산가능인구(3593만1057명)는 전년 대비 35만97명(-0.96%), 핵심 생산가능인구(1790만728명)는 26만3240명(-1.45%)이 각각 감소했다.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한편, 1인 가구는 대세가 됐다. 전국 2391만4851가구 중 1인 가구는 993만5600가구로 전체 41.55%를 차지했다. 반면 4인 이상은 408만3363가구(17.07%)에 그쳤다. 지난해 가구당 평균 주민 수는 2.15명으로 전년보다 0.02명 더 줄었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차관은 "인구감소 충격을 줄이기 위해 체류형 인구개념인 생활인구를 유치하도록 돕는 등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아울러 아이를 안심하고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관계 기관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