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상장사 42% ‘좀비기업’…팬데믹 때보다 심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최근 상장사 10곳 중 4곳 이상은 ‘번 돈으로 이자를 못 갚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 압박’을 받는 취약 기업은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2020년보다 더 늘었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 속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경영환경이 나빠지면서 재무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1674개의 상장사(코스피+코스닥)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710곳(영업적자 포함)이다. 비중으로 따지면 전체의 42.4%로 1년 전(34.3%)보다 8.1%포인트 증가한 데다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2020년 3분기(39.9%)보다 늘었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다. 예컨대 이자보상배율이 1을 밑돌면 영업활동으로 번 돈으로 이자조차 갚기 어렵다는 의미다.

가장 먼저 경고음이 울린 곳은 건설 업계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증시에 상장된 건설사 53곳 중 절반 정도(25곳)가 이자보상배율이 1을 밑돌았다. 특히 토목·건축 시공능력평가 30위권 건설사 가운데 워크아웃을 신청한 태영건설은 물론, GS건설과 신세계건설 등이 포함됐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태영건설은 지난해부터 이미 채무 부담이 컸다. 지난해 3분기까지 태영건설의 영업이익은 977억원으로 1년 전(238억원)보다 4.1배 늘었다. 흑자를 냈지만 불어난 이자비용(1271억원)을 감당하긴 부족했다. 신세계건설은 지난해 영업적자(3분기 누적 903억원 손실)를 낸 영향이 크다.

GS건설은 지난해 3분기 기준 이자손해배상비율이 1을 밑돌지만, 채무상환 능력엔 문제없다는 게 전문가의 공통된 의견이다. 지난해 4월 인천 검단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사고에 따른 재시공 비용(5500억원)을 2분기 손실로 반영하면서 일시적으로 적자를 냈다고 분석했다.

증권가에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가 태영건설에서 멈추지 않을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하이투자증권은 4일 보고서에서 동부건설과 신세계건설을 취약한 건설회사로 거론했다.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동부건설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단기차입금 규모가 4189억원에 이르지만, 현금성 자산은 583억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업평가는 지난달 말 동부건설의 단기 신용등급을 ‘A3+’에서 ‘A3’로 낮췄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신세계건설의 경우 현금성 자산 1468억원에 단기차입금 1700억원 규모로 당장 위험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미분양이 대거 발생하고 있는 대구 사업장이 많은 게 위험 요소로 꼽혔다. 배세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신세계건설은 대구 수성4가 공동주택, 대구 칠성동 주상복합 등 일부 미분양 현장을 중심으로 자금 사정이 악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롯데건설을 우려하는 보고서도 나왔다. 하나증권은 이날 “도급 PF 규모가 크고, 1년 내로 돌아오는 PF가 유동성보다 크며, 양호하지 않은 지역에서의 도급 PF를 보유하는 비중이 높다는 공통점을 지닌 기업은 태영건설과 롯데건설”이라고 밝혔다.

건설업계뿐이 아니다. 일부 대기업도 고금리 대출로 이자 압박을 받고 있다. 시가총액 2조원 넘는 기업(시총 순위 150위권) 가운데 SK하이닉스를 비롯해 LG디스플레이, 롯데케미칼, 넷마블, 이마트 등이 이자보상배율이 1을 밑돌았다. 문제는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을 밑도는 취약기업이다. 시총 2조원 넘는 기업 중에는 한진칼, 현대미포조선 등이 포함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따른 기업 경영환경이 나빠지면서 영업이익으로 이자 못 갚는 취약기업이 늘 것”이라며 “(이런)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공장용지 등 부동산을 매각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