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4100억짜리 현대차 러 공장, 단돈 14만원에 팔리는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현대차·기아가 4100억원 가치의 러시아 공장을 현지 기업에 단돈 14만원에 매각한다. 다만, 재진출 가능성에 대비해 2년 내엔 되사올 수 있는 ‘바이백’(재구매) 조건을 계약에 포함했다.

러시아 상트페트르부르크에 있는 현대차 러시아 공장 . 뉴시스

러시아 상트페트르부르크에 있는 현대차 러시아 공장 . 뉴시스

현대차 러 공장, 단돈 ‘14만원’에 팔리는 이유

현대차는 19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 ‘현대자동차 러시아 생산법인(HMMR)’의 지분 전체를 매각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매각 자산에는 연 23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과 같은 도시에 있는 연산 10만 대 규모의 옛 제너럴모터스(GM) 공장 부지도 포함됐다.

매각 대상 자산 가치는 장부상 약 4100억원(현대차·기아 포함)에 달하지만 매각 예정가는 1만루블, 한화로 약 14만원에 불과하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지난해 3월부터 생산과 수출이 모조리 멈춘 상태에서 ‘리스크’를 덜어내는 차원에서 현지 업체에 매각하다 보니 막대한 손실을 감수하고 상징적인 값에 매각하게 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인수자인 아트 파이낸스는 벤처투자 기업으로 최근 폭스바겐의 러시아 공장과 자회사 지분도 인수한 바 있다.

앞서 일본 닛산자동차와 프랑스 르노자동차도 각각 1유로(약 1400원)와 2루블(약 28원)에 러시아 법인을 현지 업체에 넘긴 바 있다. 이들 기업도 바이백 조건을 달았다. 이렇다보니 “러시아 정부가 자국 내 고용 안정 등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어 외국 기업 자산을 강제로 국유화한다”(파이낸셜타임즈)는 비판도 나왔다. 현대차 역시 2년 내에 되사올 수 있는 바이백 조건을 붙였지만, 이땐 매각가 아닌 시세로 매입해야 한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현대차 공장의 모습. 타스=연합뉴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현대차 공장의 모습. 타스=연합뉴스

현대차 러 1위 기반…전쟁 이후 가동 중단

현대차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공장 가동이 중단된지 1년 9개월 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현대차 관계자는 “러시아 현지 상황 등을 고려해 기존 판매된 차량에 대한 애프터 서비스(AS)는 계속 운영할 방침”이라고 했다.

앞서 현대차는 정몽구 명예회장 주도로 지난 2010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완성차 공장을 구축했다. 동유럽 시장 교두보 확보, 첨단 우주항공 기술 도입과 관련한 러시아 측의 협조 등 전략적 목표도 있었다. 지난해 봄까지만 해도 이곳에서 솔라리스, 크레타, 리오 등 인기 차종을 생산했다.

정 명예회장은 지난 2016년 “어려움이 있더라도 러시아 시장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며 특유의 ‘뚝심’을 발휘해왔다. 이런 전략적 지원 하에 2021년 8월엔 러시아 자동차 시장에서 점유율 1위(28.7%)까지 올랐지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제재로 부품 수급난을 겪으면서 지난해 3월부터 공장 문을 아예 닫아야 했다.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공장 가동 중단으로 손실도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HMMR은 지난해 2301억원의 당기 순손실을 기록했고, 올해 상반기 순손실 규모도 2270억원이 넘었다.

관련기사

가전업계도 러시아發 한파

자동차 업계 뿐만 아니라 전자업계도 러시아 현지 생산 법인이 가동을 중단한 지 1년을 훌쩍 넘기면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008년 문을 연 이래 이익 행진을 거듭했던 삼성전자 칼루가의 TV‧모니터 공장은 지난해 3월부터 운영을 중단했다. 2006년 국내 가전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러시아 공장 가동을 시작한 LG전자도 지난해 8월 TV·세탁기·에어컨·냉장고를 생산하던 루자 공장의 문을 닫았다. 이들 기업은 모두 “향후 상황을 검토하며 운영 방안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