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저성장보다 더 두려운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김경희 기자 중앙일보 기자
김경희 경제부 기자

김경희 경제부 기자

“일본의 젊은 세대는 1980년대와 같은 경제 호황을 원하지 않습니다. 절반 이상은 차라리 지금이 낫다고 생각하죠.” 최근 일본의 한 대학교수에게 전해 들은 얘기다. 소위 MZ세대는 버블 경제(자산 가격 폭등) 붕괴 이후 ‘잃어버린 30년’을 겪으면서 고도성장의 후과를 더 두려워하게 됐다는 의미다.

비슷한 맥락에서 일본 노조의 최대 목표는 임금 인상이 아닌 고용 유지라고 한다. 내 월급이 오르는 것보다 또 다른 가족 구성원도 돈을 벌 수 있는 환경이 결과적으로 가계 소득을 늘린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 고용이 나빠지면 사회적으로 히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 범죄가 증가하는 등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고 우려한다.

노트북을 열며

노트북을 열며

다른 나라의 상황이라고 흘려들을 수 없었다. 반복된 경제 정책의 실패가 사회의 역동성을 얼마나 떨어뜨리는지 보여주는 것 같아서다. 일본 젊은 세대가 성장보다 분배와 안정을 추구하는 건 뼈아픈 학습효과의 결과일 것이다. 버블 붕괴 뒤 20년간 일본의 실질 경제성장률은 0.8%였다. 분배에서 성장 위주로 경제 정책을 재선회한 ‘아베노믹스’ 기간에도 실질 경제성장률은 0.9%에 불과했다.

일본식 장기 저성장의 늪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는 올해 한국 경제를 짓누른 주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0.6%다. 1분기 0.3%, 2분기 0.6%에 이어 세 분기 연속 0%대 성장이다. 올해 연간으론 1.4%, 내년 2.1% 성장률 달성을 전망하고 있지만 결코 장밋빛은 아니다.

게다가 경제에 부담을 주는 저출산·고령화는 일본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1960∼2021년 합계출산율 감소율(86.4%·5.95→0.81명)은 217개 국가·지역 중 1위다. 기대 수명이 늘면서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일본을 따라가는 게 문제가 아니라 잘 따라가기만 해도 다행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이유다.

이럴 때일수록 중요한 건 저성장 위기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가 아닐까 싶다. ‘한강의 기적’이라고도 불리는 1960~70년대식 고도성장은 어렵겠지만, 최소한 패배감에 젖어 저성장을 숙명처럼 받아들이는 건 경계해야 한다. 특히 내 아이가 나보다 못한 삶을 살게 될 거라는 부정적 인식은 저출산을 부추기고 저성장을 고착화하는 악순환의 뿌리다. 그러니 당분간은 무한 긍정의 힘을 믿어보고 싶다. 2024년을 저출산 극복의 원년, 경기 회복의 발판으로 만들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