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대학생 패널이 소리내다

"지하철 무임승차, 가치외교 논쟁 유익... 소수 의견 반영 늘려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소리내다(Make Some Noise)’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지난 9월부터 대학생 패널 2기는 〈국민연금 개혁...“내기만 하고 못 받는다는 걱정 안 하게 해달라”〉 〈“MZ는 노인 무임승차 반대?…적자의 본질에 집중해야”〉 〈가치외교로 실리를 얻을 수 있을까〉 등 '소리내다' 칼럼에 대한 의견을 냈다. 특히 지하철 무임승차와 관련해선 "젊은 층이 무임승차를 꼭 반대하지 않으며 이를 복지의 차원에서 봐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아울러 '소리내다' 코너가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더 담아내고 국제 문제를 비중 있게 다뤄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경어진(연세대)=‘건강한 소통’의 의미를 배운 시간이었다. 필자의 ‘발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패널도 발언자로서 또다른 소리를 내며 ‘대화’할 수 있어 좋았다. 댓글을 통해 독자들이 이후 소통 과정에 참여한 것 또한 인상적이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칼럼은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의 〈잼버리 사태의 근본원인…왜 전북도는 해창갯벌 고집했나〉이다. 새만금 갯벌이라는 ‘공간’에 주목하여 올해 큰 충격을 안긴 ‘잼버리 사태’의 근본적 문제점을 지적한 글이라고 생각한다. 공간으로서의 갯벌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앞으로는 이 공간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제시한 부분이 와 닿았다.

◇김예린(국민대)=대학생 패널단 안에서 여러 주장과 논거들이 나온 것은 '소리내다'의 취지가 잘 반영된 결과라 생각한다. 다른 청년들의 날카로운 시각을 보며 반성한 부분도, 달리 생각해보게 된 부분도 있었다. 가장 인상적인 칼럼은 송시영 서울교통공사 올바른노조위원장의 〈임금 인상안 받아들일 만한데 왜 지하철 파업하나〉이다. 가장 뜨거웠던 이슈 중 하나인 지하철 적자 문제에 대해 다른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 현장에서 일하는 노조로서 일반 시민들이 잘 모르는 부분을 속시원히 말해줬다.

◇김채현(서울여대)=송시영 서울교통공사 올바른노조위원장의 글을 재미있게 읽었다. 일반 시민들이 모를만한 문제점을 짚어줘서, 시야가 넓어졌다. 다만 전체 칼럼 하단에 “외부 필진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라고 표시하는 것은 책임을 회피하는 것 같아 아쉬운 느낌이 들었다.

◇박종혁(한국외대)=대학생 패널의 의견 표출은 그 자체로 흥미로웠다. 젊은 세대의 시각이 주요한 논의에서 배제되지 않고 그들 스스로 해답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고 본다. 다만 칼럼을 쓴 필진에게 자유롭게 질문하고 답을 들을 수는 없었다. 필진의 의견에 반박하고 이에 대해 필진이 다시 응답하는 것이 활성화돼야 한다. 또 '소리내다'가 다루는 주제가 반드시 보편적일 필요는 없다고 본다. 사회적 약자와 소외 계층에 대한 담론을 적극적으로 형성해야 한다.

◇박주하(서강대)=다소 논쟁적일 수 있는 주제에 대해서도 패널단이 실명으로 의견을 제시한 점이 좋았다. 송시영 서울교통공사 올바른노조위원장의 칼럼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소득이 높지 않은 학생들에게 교통비 인상은 항상 부담이지만, 도덕적 가치도 생각하는 ‘요즘 MZ’들은 단순히 노인 무임승차를 반대하지만은 않는다. 대학생 패널도 오히려 복지 차원에서의 정부 지원 확대를 주장하는 의견을 제시했다. 노인무임승차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공유했던 것이 의미가 있었다.

◇신우석(중앙대)=세계화 시대에 국제 이슈는 분명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이다. '소리내다'에서 국내 이슈뿐만 아니라 시의성 있는 국제 이슈를 더 많이 다루면 좋겠다. 그런 점에서 홍태화 국제관계 연구원의 칼럼 〈가치외교 vs 실리외교 충돌?…국제적 가치 지키는 게 '실리'다〉 가장 기억에 남는다. 맹목적인 가치외교를 지향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기에 홍 연구원의 의견과 다소 다르지만 생각할 점이 많은 글이었다.

◇정예진(고려대)=우리 사회에 서로 다른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공론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왔는데, 패널이 그런 역할을 할 수 있어 뜻깊었다. 이성민 작가의 칼럼 〈비행기 사고까지 부른 존댓말 문화…'이름+변형반말' 평어 쓰자〉이 가장 인상 깊었다. 한국의 이른바 ‘꼰대 문화’의 수직적 조직 구조는 오래전부터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만약 한국의 조직에서 일률적으로 평어를 쓴다면 어떨까?’ 하는 상상이 굉장히 재미있었고, 색다르게 느껴졌다.

◇최하언(경희대)='소리내다'의 핵심 가치는 상반된 입장이 서로 질문하고, 응답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가석방 없는 종신형에 대한 상반된 생각을 밝힌 원혜욱 교수와 김대근 연구위원의 칼럼이 가장 인상 깊었다. 가석방 없는 종신형은 하반기 다발적인 흉기난동 사태에서 떠오른 대안이었고 시의적절한 내용이었다.

◇한지유(건국대)=언론들이 제기하는 핵심적인 의제들 외에 주변부의 시사 이슈를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었다. 홍정석 변호사의 칼럼 〈빈곤층만? 중산층도 예외 아니다…최소장례비 보장 검토할 때〉가 가장 인상 깊었다. 그는 ‘최소 장례비를 정책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통해 초고령사회를 앞둔 우리나라에 필요한 의제를 선제적으로 제시했다. 특히 해당 칼럼이 ‘개개인의 소박한 의제’를 담아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다만 대학생 패널이 다소 수동적 위치에서 의견을 개진하는데 그쳤다는 느낌이다. 자신이 직접 소리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면 좋았겠다.

◇허세영(서울대)=다양한 주제에 관해 글을 읽고 자료를 찾아보며 정치, 사회, 경제, 외교 전반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어 좋았다. 홍태화 국제관계 연구원의 칼럼에 가장 깊은 인상을 받았다. 미ㆍ중 경쟁과 한국 외교의 방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독자에게 제공했다고 생각한다.

정리=심하윤·김서정 인턴기자 think@joongang.co.kr

관련기사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