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청년 10명 중 8명이 결혼 안 했다…30년 뒤 인구 '반토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연합뉴스.

연합뉴스.

경기도 고양시에 거주하는 직장인 김모(32)씨는 7년 전 취직했지만, 여전히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다. 출·퇴근이 용이한 데다, 월세나 생활비를 낼 필요가 없어 돈 모으기도 더 유리해서다. 두 살 어린 김씨의 동생도 직장을 다니지만, 독립하지 않아 현재 네 식구가 함께 살고 있다. 김씨는 “부모님은 ‘빨리 결혼해 독립해 나가라’고 성화지만 당분간은 둘 다 결혼 계획이 없다. 부모님께는 죄송하지만 버틸 수 있을 때까지 버틸 것”이라고 말했다.

만 19~34세 청년 10명 중 8명은 결혼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년 전보다 미혼 비중이 대폭 늘면서 부부 가구는 줄고 1인 가구나 부모와 동거하는 가구의 비율이 늘어났다. 통계청은 27일 이런 내용을 담은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로 분석한 2000~2020 우리나라 청년세대 변화’ 결과를 발표했다.

청년층 인구 30년 뒤 반토막…미혼 비중↑

지난 20년간 추이를 보면 청년층 인구 비중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2020년 기준 청년세대 인구는 1021만3000명으로 총인구의 20.4%를 차지했다. 20년 전 28%(1288만3000명)였던 것과 비교하면 8%포인트 줄었다. 저출산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30년 뒤인 2050년엔 전체 인구의 11%(521만3000명) 수준으로 쪼그라들 전망이다. 지금이 절반으로 뚝 떨어지는 셈이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여기에 만혼·비혼 문화 확산으로 결혼하지 않은 청년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2020년 기준 ‘미혼’ 청년은 783만7000명으로 전체 청년의 81.5%를 차지했다. 20년 전엔 54.5% 수준이었지만▶2005년 63.2% ▶2010년 68.9% ▶2015년 75% ▶2020년 81.5%로 5년마다 5~6%포인트씩 증가했다.

특히 연령별로 보면 결혼 적령기인 30~34세의 미혼 비율이 56.3%(2020년)로 20년 전 18.7%에 비해 3배 가까이 증가했다. 25∼29세 중에선 87.4%가 미혼으로 20년 전보다 33.2%포인트 증가했다.

청년층 절반 부모와 동거…1인 가구, 20년 전보다 3배↑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미혼 청년층이 늘면서 자연스레 부부 가구 비중은 줄고, 부모와 여전히 동거하거나 홀로 독립한 가구가 늘었다. 청년 가운데 부모와 동거하는 비중은 2020년 기준 55.3%(532만1000명)였다. 5년 전인 2015년보다는 소폭 줄었으나 추이를 보면 ▶2000년 46.2% ▶2005년 49% ▶2010년 51.2% ▶2015년 58.4%로 꾸준한 증가 추세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체적으론 취직과 결혼이 늦어지면서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부모 동거 비중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19~24세가 45.7%로 가장 많았지만 사회 초년생으로 분류되는 25~29세(35%)와 30~34세(19.4%) 비율도 낮지 않았다.

1인 가구는 20.1%(193만5000명)로 집계됐다. 2000년 6.6%와 비교하면 3배 이상 증가했다. 청년이 혼자 사는 이유로는 '본인의 직장 때문'이 55.7%로 가장 많았다. '본인의 독립생활'(23.6%), '본인의 학업 때문'(14.8%) 등이 뒤를 이었다.

10명 중 3명 "부모 도움받아"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청년세대의 65.2%는 ‘본인의 일·직업(배우자 포함)’을 통해 생활비를 충당했다. 하지만 10명 중 3명(29.5%)은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가구 형태별로 보면 1인 가구 중 20.5%가, 교육상태별로 보면 대학 졸업·수료·중퇴자 중 17.7%가 부모에게 여전히 생활비 지원을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두 집단 모두 상대적으로 취업자 비율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집단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예전 같으면 경제적으로 독립했어야 할 시기에도 상당 부분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의지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최슬기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앞으로 청년층 인구 감소의 충격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 교수는 “지금의 시스템으로는 작동할 수 없는 부분이 계속해서 나올 거다. 예를 들어 대학 입학이나 군대 입대할 청년층이 없어질 것이고, 노동시장에서도 인력 공급이 안 되는 상황이 올 것”이라며 “사회 모든 부문에서 인구 구조의 변화에 맞춰서 시스템이 달라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출산 대책도 여전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출산율이 조금이라도 늘어난다면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장기적으로 충격이 완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