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韓닥터 얼마 벌길래 'OECD 1위'…변호사보다 소득증가 4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서울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최근 7년간 의사 소득 증가율이 변호사보다 4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봉직의(페이닥터)의 연간 임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 수준으로 올라섰다.

29일 국세청 종합소득세 신고분 자료를 보면 의료업(의사·한의사·치과의사) 종사자의 평균소득은 2021년 기준 2억6900만원을 기록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4년(1억7300만원)과 비교하면 7년간 55.5%(9600만원)가 증가했다. 이는 별도의 종합소득을 신고하는 ‘개원의’ 기준이다.

이들은 2020년을 제외하고 매년 1000만원 이상 소득이 늘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환자가 급증했던 2021년에는 직전 연도보다 3400만원이 늘었다.

다른 고소득 전문직 일자리인 ‘변호사’와 비교해도 증가세가 뚜렷했다. 변호사업 평균 소득은 2014∼2021년 1억200만원에서 1억1500만원으로 12.7%(1300만원) 증가했다. 55%를 넘긴 의사와 비교해 4분의 1 수준이다.

이런 차이는 의사 숫자가 제한된 시장 구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14~2021년 변호사업 소득 신고 인원은 4419명에서 6292명으로 42.4%(1873명)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의료업 사업소득 신고 인원은 6만7867명에서 7만6673명으로 13.0%(8806명) 늘었다.

당국은 의사 정원 확대로 의사 소득이 내려가면 이공계의 의대 쏠림 현상도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국 40곳 의대의 입학 정원은 2000년 의약 분업 이후 정원의 10%인 351명을 감축한 상태다. 이후 2006년부터 현재까지 18년째 3058명으로 동결 중이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한국 의사의 연봉 증가세는 가파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23년 보건통계'에 따르면, 한국 전문의 가운데 병·의원 페이닥터의 연간 임금소득은 2010년 13만6104달러에서 2020년 19만2749달러로 42% 증가했다. 해당 수치는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구매력평가(PPP) 환율을 적용한 숫자라 실제 연봉과는 차이가 있다.

총 26개 회원국(일본·미국 등은 제외)과 비교하면 2010년 OECD 5위였던 한국 페이닥터 임금소득이 2021년 기준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대다수 국가는 2011~2021년 수치를 기준으로 했지만, 한국과 프랑스·그리스· 영국 4개국은 가장 최신 자료를 기준으로 2010~2020년 수치를 적용한 결과다.

높은 임금에 비해 한국의 임상 의사 수는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건 통계 2023’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상 의사(한의사 포함)는 인구 1000명당 2.6명으로, OECD 국가 평균(3.7명)보다 적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