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탄탄한 美경제, 그걸 지켜보는 韓…함께 큰다? 이젠 옛 공식

중앙일보

입력

올 3분기(7~9월) 미 경제가 전년 대비 4.9% 성장하며 탄탄한 모습을 과시하고 있지만 이를 바라보는 한국 경제는 걱정부터 앞선다. 미국을 중심으로 고금리‧고물가가 장기화하면 부채 규모가 큰 한국의 가계와 기업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과거 미 경제가 호황을 누리면 수출 주도형 한국 경제도 덩달아 성장했지만 이제는 옛 공식이다. 미국이 ‘제조업 르네상스’를 외치며 생산 시설을 자국으로 대거 돌리는 등 ‘글로벌 분업 체계’에 균열이 생기면서다.

26일(현지시간) 미 상무부는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연율 4.9%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 분기 대비로는 1.2% 성장했는데, 같은 날 발표된 한국 3분기 GDP(0.6%)의 두 배 수준이다. 특히 소비와 민간 투자가 각각 4%, 8.4% 증가하며 성장세를 끌어올렸다.

미국 경제성장률 추이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미국 상무부]

미국 경제성장률 추이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미국 상무부]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고강도 통화 긴축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는 원인 중 하나는 제조업 투자다. 과거 미국이 세계화를 주도하면서 국외에 공장을 짓고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며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 나섰다면, 최근엔 자국 우선주의를 외치며 공장을 미국 내로 불러들이고 있다. 세계화로 인해 미국 내 공장이 빠져나가고 일자리가 사라졌다는 불만을 해소하면서다. 최종 조립이 미국 내에서 이뤄져야 보조금을 지급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이 대표적인 ‘리쇼어링’ 정책으로 꼽힌다. 실제로 미국 기업의 제조업 고용인구가 200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정책 효과는 조금씩 나타났다. 최근에는 미국 기업뿐 아니라 해외 기업까지 미국 본토로 빨아들이는 추세다.

미국이 자국 우선주의 흐름 속에서 '나홀로 호황'을 맞으면, 경기 회복세가 더딘 전세계 다른 국가들은 변수를 하나 더 떠안는 상황이 됐다. 견조한 미 경제가 고금리 장기화와 국채금리 급등세를 이끌어 글로벌 거시경제 환경에 영향을 미치면서다. 국채금리 상승으로 인한 달러화 강세가 대표적이다. 김위대 국제금융센터 경제리스크분석부장은 “금리상승에 이은 달러화 강세는 외국인들의 여타국 금융자산 매도 압력을 높이게 되고, 달러화 표시 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유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다른 국가들의 내수와 교역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크다. 글로벌 장기 시장금리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상승세가 한국 장기금리와 동조화돼 시장금리를 끌어올린 것이 대표적이다. 이는 현재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을 악화시키고 가계 부담을 키워 내수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꼽힌다.

가계와 기업 부채 규모가 큰 한국 경제가 미국발 고금리로부터 받는 충격은 특히 크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한미동맹이 강화됐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미국 고금리의 대표적인 희생양이 됐다”며 “Fed의 결정과 이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전 세계에 어떤 파장을 일으키는지 보여준다”고 짚었다. 미국 경제 역시 중동 사태나 소비 위축 가능성 등 불확실성에 둘러싸여 있어 결국 회복세가 둔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지만, 고금리로 인한 영향은 한동안 지속될 것이란 게 전문가 진단이다. 미 장기금리 급등세를 이끄는 데에는 경기 호조 뿐 아니라 연방정부 부채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어서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연방정부 부채가 통제 불능일 것 같은 아주 작은 재료만 나오더라도 장기금리가 언제든 대폭 급등할 수 있다”며 “적어도 연말은 지나야 시장금리가 안정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미국의 ‘나홀로 호황’을 맘 놓고 바라보지 못하는 건 한국뿐 아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때 7분기 후 유로존과 일본의 성장률이 약 0.8~0.96%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로존 경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여파로 회복세가 더딘 상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수출 감소와 유가 상승으로 에너지 집약적 산업 생산에 큰 타격을 입었다”며 “유럽 경제 전망이 악화하는 건 미국 경제 회복세와 대비된다”고 썼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