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카모토 류이치, 마일스 데이비스도 홀린 사물놀이, K팝 외면 가슴 아파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862호 18면

사물놀이 45년 김덕수

1978년 사물놀이를 창시한 김덕수는 11월 2~4일 열리는 사물놀이 45주년 기념공연에서도 2시간 내내 무대에 선다. ‘다시 시작하는 마음’이라고 했다. 최기웅 기자

1978년 사물놀이를 창시한 김덕수는 11월 2~4일 열리는 사물놀이 45주년 기념공연에서도 2시간 내내 무대에 선다. ‘다시 시작하는 마음’이라고 했다. 최기웅 기자

지난 11일 열린 가수 김수철의 ‘동서양 100인의 오케스트라’ 콘서트가 화제였다. 김수철은 공연 내내 국악의 현대화와 대중화를 외쳤는데, 평생 작곡한 대표곡들의 향연 중 클라이맥스는 접신의 경지였던 ‘기타 산조’였다. ‘산조’란 장구 반주가 받쳐주는 국악기 독주 형식인데, 그 형식을 따라 만든 기타 산조는 솔로라기보다 장구 명인 김덕수와 듀엣이었다. 잼 세션처럼 숨가쁘게 주고받는 두 사람의 호흡이 딱 요즘 재즈 마니아들이 열광하는 애니메이션 ‘블루 자이언트’의 한 장면 같았다.

김수철은 그를 “장구 인간문화재”라 소개했지만, 김덕수가 1978년 창시한 사물놀이는 전통이 아닌 ‘K아트’의 원조다. 마을마다 전승되어 오던 농악의 풍물 가락을 꽹과리·징·장구·북의 타악 앙상블 형식으로 개량해 번듯한 예술 장르로 만든 것이다. 1983년 첫 뉴욕 공연 때 이미 “신을 부르는 소리”라는 뉴욕타임스의 극찬이 터져 나왔고, 실황 음반이 워너뮤직 산하 레이블에서 나오자 글로벌 팬덤이 먼저 생겨 월드투어를 돌았다. 외교 차원의 문화교류가 아니라 실제 음악시장에서 K팝보다 30여년 먼저 거둔 성과다.

11일 공연에서 사물놀이 김덕수씨의 장구 리듬에 맞춰 기타 산조를 연주하는 김수철. 기타산조는 김수철이 1986년 아시안 게임 전야제에 선보인 새로운 장르다. 박종근 기자

11일 공연에서 사물놀이 김덕수씨의 장구 리듬에 맞춰 기타 산조를 연주하는 김수철. 기타산조는 김수철이 1986년 아시안 게임 전야제에 선보인 새로운 장르다. 박종근 기자

“중1 때부터 올림픽 같은 국제 행사가 있을 때마다 해외 공연을 나갔거든요. 매번 현지 신문에 ‘한국 농악이 금메달감’이라는 기사가 났죠. 사물놀이를 어느 날 우연히 만든 게 아니에요. 우리 신명과 울림이 세계인과 공감할 수 있는 좋은 문화상품이 될 거란 걸 확신하고 만든 겁니다.”

사물놀이 2시간, 축구 90분보다 땀 더 흘려

올해는 만 7살 나이에 전국농악경연대회 대통령상을 받으며 화려하게 등장한 김덕수가 사물놀이를 창시한 지 45주년 되는 해다. 1978년 소극장 공간사랑에서 친구 김용배와 국악예술학교 선배인 최태현, 이종대 등 4명이 함께 첫 공연 ‘웃다리 풍물 가락’을 연주한 게 시작이다.

사물(四物)놀이인데 혼자만 대명사로 남으셨네요.
“처음엔 꽹과리 파트너 용배 말고는 타악 전공도 아닌 선배들과 공연을 했거든요. 그 시절 공연예술계 대부였던 김수근 선생이 만드신 공간사랑에서 문화기획자들과 함께 개발한 거죠. 마당에서 하던 놀이형태를 실내에 앉아서 하는 음악적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사물놀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우리가 잘 나가니까 여기저기서 사물놀이 단체가 생기더군요. 미국 기획사가 처음 문제 제기를 했어요. 사물놀이가 ‘비틀즈’같은 그룹명인데 왜 자꾸 생기냐는 거죠. 그래서 신문사 문화부 기자들이 ‘김덕수패 사물놀이’라고 붙이는 바람에 내가 대명사처럼 됐어요. 음반을 30장 가까이 내고 공연 횟수는 5000회가 넘지만, 거의 해외에서 얻은 성과예요.”
생전의 사카모토 류이치와 영화 '남한산성' 음악을 함께 만들던 작업실에서. [사진 김덕수]

생전의 사카모토 류이치와 영화 '남한산성' 음악을 함께 만들던 작업실에서. [사진 김덕수]

첫 해외공연을 고 사카모토 류이치가 도와줬다고요.
“동갑내기 친구였는데, 81년 세계적인 작가 나카가미 겐지와 사진작가 시노야마 기신이 『서울파노라마』라는 책을 낼 때 출간 행사에서 처음 만났어요. 류이치가 디제잉 스크래치를 하고, 나는 장구 하나로 듀엣을 했죠. 그 후 도쿄에 사물놀이 첫 해외공연을 갔는데, 류이치가 영향력 있는 예술가들을 다 데려온 거예요. 86년엔 마일스 데이비스, 허비 행콕 등 전설적인 재즈 아티스트들과 SXL이라는 프로젝트 밴드도 같이 했고요. 류이치가 영화 ‘마지막 황제’로 상을 탈 즈음인데, 젊은 시절이라 밤마다 술먹고 놀며 절친이 됐죠. 사실 다른 나라 민속음악을 들으면 생소한데, 사물놀이 리듬은 어떤 뮤지션과도 잘 어울려서 최고 대우를 받으며 돌아다녔죠. 아마 5천년 역사에 꽹과리·징·장구·북이 그렇게 대우받은 게 처음이었을 겁니다.”
막상 국내에선 우리 음악이 천대받던 때인데요.
“대단히 아이러니하죠. 시위현장에서나 쓰는 악기라며 질색하는 분들도 있었어요. 당시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무진장 반정부 시위를 했으니 그 시대의 울림이었던 건데, 사실 옛날부터 그랬어요. 일을 할 때는 노동의 악기였고, 축제 때는 축제의 음악이 되고, 전쟁 때는 진법이 될 정도로 어디에나 불려다닌 게 사물이었으니까요. 대학에서 부르면 우린 최루탄 속에서 울면서 연주했을 뿐이에요. 선동 구호 없이 그저 두드리기만 하니, 악기는 뺏어가도 잡아가진 않더군요.(웃음)”
19일 오후 서울 마포구 중앙일보 스튜디오에서 사물놀이 김덕수 명인이 중앙SUNDAY와 인터뷰 했다. 최기웅 기자

19일 오후 서울 마포구 중앙일보 스튜디오에서 사물놀이 김덕수 명인이 중앙SUNDAY와 인터뷰 했다. 최기웅 기자

아버지, 삼촌까지 남사당패 집안에서 태어난 ‘광대계의 황태자’ 김덕수는 날 때부터 가무악을 기본으로 장착했던 게 틀림없다. 장구·소고·꽹과리 같은 악기와 소리는 그저 숨 쉬듯 익혔고, 인형극·탈춤에 줄타기같은 곡예까지 놀이처럼 습득했다. 1964년 남사당패가 해산하기까지 아침에 의상을 입으면 하루종일 어른들 속에서 공연을 하는 것이 그저 삶이었다. 그런데 남사당패의 시대가 막을 내렸을 때 그에겐 화려한 월드투어 인생이 시작됐다.

“돌아보면 어린 마음에도 유랑은 고달팠어요. 소설 『객주』에 나오듯, 땅이 쩍쩍 갈라지는 한겨울에 어른들 등에 업혀 다녔으니까요. 중학교 갈 무렵 교복이 멋진 인문계 중학교로 도망가고 싶어서 시험 준비도 했었는데, 남사당패 마지막 전국투어를 마치고 전통예술학교에 스카우트가 되니 팔자로 받아들일 수밖에요. 대신 입학하자마자 선생님들과 5대양 6대주로 해외공연을 다녔어요. 학교서 배워야 할 것을 거의 다 떼고 들어왔으니까요. 닉슨 대통령 시절 백악관이나 영국에 엘리자베스 여왕을 위한 공연을 가면 엘비스 프레슬리,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같은 슈퍼스타들이 앞뒤 순서였죠. 그렇게 몇 년을 다니면서 어떻게 기획을 해야 공연이 업그레이드 되는지 많이 배웠습니다.”

80~90년대 재즈 뮤지션들과 프로젝트 음반을 낸 ‘크로스오버’의 원조인데, 당시 엄격했던 국악계의 쓴소리는 없었나요.
“100% 우리 색깔로 연주를 했으니까요. 멜로디 악기가 뭘 연주하건 우리는 그저 우리 레퍼토리에 새로운 옷을 입혔을 뿐이거든요. 젊은 친구들이 다양한 시도를 하지만, 세계인들에게 인정받으려면 내가 누구냐를 분명히 얘기할 수 있어야 해요. 뚜렷이 차별화되는 음악적 존재성을 갖지 않으면 부르지 않아요. 나는 이미자·조용필 같은 대중가수들과도 많이 작업했지만 내 맘대로 한 적은 없어요. 서태지 ‘하여가’는 태평소를 불어줬는데, 아주 전통적인 가락을 입혔기 때문에 그 노래가 그렇게 인정받은 겁니다. 요즘 BTS같은 K팝이 전통에 관심을 보인다지만 내가 보기엔 그림만 쓰는 것 같아요. 우리 리듬을 써야 진짜죠. 젊은 전공자들조차 전자음향만 잔뜩 쓰고 우리 리듬악기를 안 쓰니 신명이 날 턱이 있나요. 가슴아픈 일이죠.”
우리 리듬에 한계는 없나요.
19일 오후 서울 마포구 중앙일보 스튜디오에서 사물놀이 김덕수 명인이 중앙SUNDAY와 인터뷰 했다. 최기웅 기자

19일 오후 서울 마포구 중앙일보 스튜디오에서 사물놀이 김덕수 명인이 중앙SUNDAY와 인터뷰 했다. 최기웅 기자

“95년 UN 50주년 기념음악회에서 KBS교향악단과 사물놀이 협주곡을 했는데, 정명훈 지휘자가 생전 처음 듣는 리듬이라며 못하겠다더군요. 내가 ‘여보쇼 우리 장단이야, 나하고 10분만 스터디 하면 돼’하고 스코어를 잠깐 가르쳐 주니 금방 이해하더라고. 그렇게 UN총회장에서 우리가 빅히트를 쳤죠. 정명훈씨는 차이콥스키 콩쿠르로 세계적 스타가 됐지만, 나는 동등하다고 봐요. 우리도 학교 교육을 시키고 그런 콩쿠르를 만들어서 종주국이 돼야죠. 세계에 사물놀이 커뮤니티가 있는 대학이 수백 곳인데, 오히려 국내에선 취업에 도움이 안 되니 동아리도 안 하더군요. 이러다간 자칫 외국에 뺏기게 생겼어요. 뭔가 생각해야 할 때입니다. 뿌리가 튼튼해야 줄기도 꽃도 번창할 수 있잖아요.”

사카모토 류이치, 첫 해외공연 도움 줘

생전의 사카모토 류이치(오른쪽)와 영화 ‘남한산성’ 음악을 함께 만들 당시 모습. [사진 김덕수]

생전의 사카모토 류이치(오른쪽)와 영화 ‘남한산성’ 음악을 함께 만들 당시 모습. [사진 김덕수]

세상 안 가본 곳이 없고 전설적 뮤지션들은 다 만나본 ‘원조 K아트’는 할 말이 정말 많아 보였다. 하긴 가업에 동원됐던 꼬맹이 시절부터 65년째 장구를 치면서도 결코 멈출 줄 모르는 ‘에너자이저’가 그다. 11월 2일부터 4일까지 국립극장에서 열리는 ‘사물놀이 45주년·예인인생 65주년’ 기념공연도 내내 무대를 지킨다는데, “사물놀이 2시간 공연에 축구 90분 뛰는 것보다 더 많은 땀을 흘린다”면서도 “잠깐 나올 바에야 숟가락 놓고 말겠다”는 결기다.

3일과 4일엔 유랑하며 풍류를 연마했던 화랑에 대한 찬가 ‘찬기파랑가’를 모티브로 사물놀이 정신을 표현하는 새로운 창작 레퍼토리도 선보인다. “이 시대에 할 수 있는 건 다 해봤으니 후회 없는 인생”이라면서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창작을 한단다.

그냥 사물놀이만 해도 좋을 텐데요.
“나는 죽을 때까지 개량형으로 창작 작업을 할 거예요. 거창한 게 아니라 나는 연주자니까요. 건강이 허락할 때까지 사물놀이 연주를 하고 싶고, 그러려면 항상 도전하고 새로운 걸 해야 해요. 찬기파랑가도 ‘신명 높이하고 그게 다시 시작이야’라는 에필로그를 붙였지만, 그런 뜻을 담은 공연이에요.”

역대급 화양연화 메들리보다 “나는 연주자”란 한마디가 뭉클했다. 그런데 아직도 국악 공연을 돈 내고 보는 사람이 거의 없단다. “이번 공연은 지원금 한 푼 없지만 오기로 한다. 사람들이 얼마나 티켓을 사서 오는지 보겠다”는 그의 말이 어딘지 쓸쓸하다. “우리 식으로는 바깥에 텐트 치고 막걸리와 보쌈·겉절이·시루떡 차려서 파티를 해야 제맛인데, 자비로 공연을 하려니 그것까진 못할 것 같아 아쉬워요. 그동안의 기획자들에게 새삼 감사한 마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