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줄어든 가계 '여웃돈', 소매판매 3년5개월래 최대 폭 감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소비자들의 지갑이 좀처럼 열리지 않고 있다. 고금리ㆍ고물가 여파로 가계의 여윳돈이 이전보다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내수 소비가 되살아나지 못하면 정부가 기대하는 ‘상저하고’(경기가 상반기에 부진하고 하반기에 살아나는 것) 흐름은 강도가 약해질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대표적인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지난 8월 102.6(2020년=100)을 기록했다. 지난해 8월(108.2)에 비해 5.2% 하락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본격화했던 2020년 3월(-7.1%) 이후 3년5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다. 전월 대비로는 0.3% 줄었다. 7월(-3.3%)에 이은 2개월 연속 감소로, 역시 작년 4∼7월 이후 1년여 만에 처음이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소매판매액 지수는 개인ㆍ소비용 상품을 판매하는 2700개 기업의 판매액을 조사한 결과다. 물가 요인을 제거한 경상 판매액 불변금액에서 계절ㆍ명절ㆍ조업일수 변수까지 제외한 수치다. 계절적 요인과 물가상승률이 모두 제거된 만큼 경제주체들의 실질적인 재화 소비 수준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준내구재(의복ㆍ신발ㆍ가방 등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저가 상품)가 1년 전에 비해 7.6% 감소했고,  비내구재 가운데서는 음식료품의 소비가 8.3% 줄었다. 소비 심리와 연관성이 높은 숙박ㆍ음식점업은 4.4%, 도매ㆍ소매업은 3.6% 각각 감소했다. 이런 소비 둔화 흐름은 한국은행의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자료에도 나타나는데, 2분기 민간소비는 전분기보다 0.1% 감소한 바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7월에 호우라는 일시적 요인 때문에 소매판매의 감소 폭이 컸다면, 8월에는 ’플러스‘가 나왔어야 했다”며 “8월에도 '마이너스'였다는 것은 지금 소비가 안 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수출이 빨리 회복을 못 하는 상황에서 소비가 어느 정도 역할을 해주면 좋은데 그렇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는 가계의 자금 사정이 과거보다 나빠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분기 가계의 월평균 흑자액은 114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8%(18만3000원) 감소했다. 2020년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흑자액‘은 소득에서 비(非)이자지출을 차감한 처분가능소득에 소비지출까지 뺀 금액으로, 쉽게 말해 가계가 번 돈에서 세금ㆍ연금 보험료ㆍ이자 등을 내고 식료품 등을 산 뒤에 남은 여윳돈을 뜻한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흑자액 감소의 배경에는 우선 이자 비용 급증이 꼽힌다. 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가계의 이자 지출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은 ▶지난해 2분기 7.1% ▶3분기 19.9% ▶4분기 28.9% ▶올해 1분기 42.8%로 ▶2분기에는 42.4%로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이자 비용 급증에 따라 지난 2분기 소득에서 이자ㆍ세금 등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월평균 383만1000원으로 전년보다 2.8%(11만2000원) 줄었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역대 최대 폭의 감소율이다.

고물가도 가계의 자금 사정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2분기 가계의 소비 지출은 월평균 269만1000원으로 작년 같은 시기보다 2.7%(7만1000원) 늘었다. 그러나 물가를 고려한 실질 소비 지출은 0.5% 줄었다. 가계가 실제 씀씀이를 줄였지만,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살림을 위해 지출한 돈은 더 늘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소득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고금리ㆍ고물가가 이어지며 가계 살림은 더 팍팍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원금과 이자는 갚더라도 이제 쓸 돈이 줄었다는 것”이라며 “가계부채의 덫에 빠졌다는 것인데, 그래서 소비가 좋지 않다는 것은 변수가 아니라 상수”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