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살찐 여성은 임금 10% 적다"...남성 비해 가혹한 '비만 벌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영국·덴마크·캐나다 등 부유한 선진국에서 과체중 여성은 같은 직장 내 정상 체중인 여성 동료에 비해 급여가 10%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남성은 몸무게에 따른 임금 차이가 거의 없었다. 연구진들은 “날씬하지 않으면 발생하는 이 같은 ‘비만 벌금’(The penalty for an obese woman)이 여성과 소녀들을 살을 빼야 한다는 강박으로 몰아넣는 핵심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영국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미국과 유럽, 아시아 주요 국가 소득 분위와 성별, 비만도 등에 대한 통계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해 미국·영국·독일 등 부유한 나라에서는 부유할수록 적정 체중에 가까운 날씬한 체형을 유지하고 빈곤할수록 과체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런던의 한 공원에서 식사를 하고 있는 사람. AP=연합뉴스

영국 런던의 한 공원에서 식사를 하고 있는 사람. AP=연합뉴스

통상 빈곤층은 부유층에 비해 건강에 좋은 식재료에 접근하기 어렵고, 교대 근무나 장시간 노동 등으로 제때 식사 준비하기도 여의치 않아 패스트푸드를 자주 먹기 때문에 과체중에 쉽게 노출된다고 알려졌다. 또 저소득층은 영양학이나 공중 보건 등에 대한 적절한 교육을 받지 못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방법을 모른다는 통념도 강하다.

부유한 여성은 비만도 뚝 떨어져

그러나 매체의 분석 결과, 빈부 격차와 비만의 상관관계는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미국과 이탈리아 등에서는 부유한 남성도 빈곤층의 남성과 거의 비슷하게 뚱뚱했지만, 여성의 경우 부유할수록 비만도가 급격하게 떨어졌다. 이코노미스트는 “소득 격차에 따른 비만도 차이는 사실상 여성이 전적으로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두고 이코노미스는 “여성에게는 ‘날씬함’이 사회·경제적 성공의 주요 원인이 된다는 증거”라고 했다. 매체는 “수많은 연구에 따르면 과체중 또는 비만인 여성은 마른 동료보다 적은 급여를 받고 있다”면서, 미국과 유럽 등 여러 나라에서는 과체중 여성의 급여가 마른 여성 동료 대비 약 10% 낮다고 전했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데이비드 램버트 미국 텍사스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비만 여성들은 사회 경력을 시작할 때부터 임금이 동료들보다 낮게 책정되고, 직장 생활 전반에 걸쳐 임금 인상이나 승진 기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램버트 교수는 논문에서 “2004년 43세 비만 여성이, 1981년 20세 비만 여성보다 더 큰 임금 차별, 즉 '비만 벌금'을 물어내고 있다”고 전했다.

비만 여성에 대한 이 같은 비만 벌금이 앞으로 더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미국 하버드 대학이 실시한 ‘암묵적 편견’ 테스트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인종·성별·동성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현저히 줄어들었지만, 비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램퍼트 교수 역시 “과거에는 과체중이 더 일반화되면 뚱뚱한 여성에 대한 차별이 감소할 것으로 생각했다”면서 “1980~2000년 비만 인구가 두 배 증가했지만 비만 여성에 대한 낙인과 벌금은 더 커졌다”고 말했다. 그는 “날씬함이 희소해지면서 프리미엄이 증가해 비만 여성에 대한 더 큰 차별로 이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뉴욕에서 과체중 또는 비만인 참가자들이 체중 감량을 시도하는 리얼리티 TV쇼에 참가를 희망하는 도전자가 심사 위원 앞에 서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뉴욕에서 과체중 또는 비만인 참가자들이 체중 감량을 시도하는 리얼리티 TV쇼에 참가를 희망하는 도전자가 심사 위원 앞에 서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비만 벌금' 벗어나려면 날씬해야

이코노미스트는 “이 같은 비만 벌금과 사회적 통념에 따라, 사회적 성공을 꿈꾸는 여성이라면 날씬함을 추구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결론이 됐다”고 전했다. 노동 시장에서 인정받고자 하는 여성들은 하루에 800칼로리만 섭취하고 살아남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듣고, 매일 체중을 측정하며, 이를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스스로를 격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 여성이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몸매는 ‘족제비 몸통’으로 불린다고 매체는 전했다. 마치 물속에서 방해받지 않고 미끄러지듯 헤엄치는 족제비와 같은 유선형의 날씬함이 여성들이 추구할 신체적 완벽함이 됐다는 얘기다. “몸매 관리에 신경 쓸 필요 없다”는 페미니스트의 주장은 현실을 망각한 허구이며, 체중 차별과 비만 벌금에서 벗어나 노동 생태계에서 살아남으려면 사회가 요구하는 체형에 순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식사를 거부하는 여성의 모습. 셔터스톡

식사를 거부하는 여성의 모습. 셔터스톡

일부 조사에 따르면, 소녀는 6세부터 자신이 날씬해야 한다는 주변의 기대를 인식한다. 『트릭 미러』의 저자 지아 톨렌티노는 “청소년기가 되면 사회의 미적 기준에 압도돼 마치 바이러스에 감염되듯 거식증과 폭식증을 서로에게 전염시킨다”면서 “이 비극에는 탈출구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여성들은 자신에게 날씬함을 요구하는 사회적 통념에 순응하거나 다른 길을 택하기도 한다. 하지만 어떤 길을 택하든 엄청난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