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美포드함'처럼 전투기 쏜다...'점프대' 없는 中항모 이달 출항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거대한 군함의 굴뚝에서 피어오르는 연기는 항해를 준비하고 있다는 가장 분명한 신호다.”

최근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들은 중국의 최신형 항공모함인 ‘푸젠(福建)함’의 시험 항행이 임박했다며 현장 상황을 전했다. “몇 달 전부터 준비한 뒤, 시동을 걸고 추진 장치를 테스트 중”, “이르면 이달 말 출항” 등의 첩보도 흘러나왔다.

세계 최대 조선사인 중국선박집단(CSSC)의 중국 상하이 장난(江南)조선소에서 건조에 들어간 지 4년만인 지난해 6월 진수한 데 이어, 배수량 7만t급의 거함이 바다로 나갈 채비를 마쳤다는 얘기다.

지난해 6월 17일 중국의 세 번째 항공모함인 ‘푸젠함’이 상하이 창싱도에 자리한 장난조선소에서 진수식을 갖고 모습을 드러냈다. 신화=연합뉴스

지난해 6월 17일 중국의 세 번째 항공모함인 ‘푸젠함’이 상하이 창싱도에 자리한 장난조선소에서 진수식을 갖고 모습을 드러냈다. 신화=연합뉴스

푸젠함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주창해온 ‘강군몽(强軍夢)’을 구현할 핵심 전력이다. 중국의 해군력은 전 세계에서 9개 항모전단(인도태평양 5개, 대서양 4개)을 운용 중인 막강한 미군에 맞서기에는 역부족으로 평가된다.

러시아의 재래식 항모(바랴크함)를 개조한 1번함(랴오닝함)과 중국의 자체 기술로 건조한 2번함(산둥함)은 제대로 된 항공기 운용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항모는 항공기가 엔진 추력만으로 이륙할 수 있도록 갑판 경사를 비스듬히 올린 스키점프대 방식을 채용했다.

그러다 보니 J-15 전투기 등이 이륙하기 위해 탑재할 수 있는 연료나 무장량이 상당히 제한된다. 결국 실제 함재기의 능력치보다 전투반경도 줄고, 공격·방어능력도 떨어지게 마련이다. 제대로 싸울 수가 없다는 의미다.

미군도 포드함만 갖춘 EMALS

3번함인 푸젠함은 이런 한계를 극복한 첫 중국 항모가 될 전망이다. 중국이 자체 설계·제작한 전자기식 캐터펄트(EMALS)를 장착했기 때문이다.

미 해군 주력 핵추진 항모들은 증기식 캐터펄트(사출기)를 쓴다. 짧은 항모 갑판에서 마치 새총을 쏘듯 항공기를 띄우기 위해 강력한 고압의 증기로 이륙을 돕는 장치다. 원자로가 만드는 고온·고압의 증기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 효율도 뛰어나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그런데 중국은 아직 핵추진 항모가 없다. 최신형인 푸젠함도 핵추진은 아니다. 즉 증기식 사출기를 놓기 어렵다는 뜻이다.

대신 푸젠함은 전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한 EMALS를 탑재했다. 미 해군이 2017년 취역한 최신 항모인 제럴드 포드함(CVN 78)에만 장착했을 정도로 첨단 장비다. 중국은 푸젠함 이후 건조하는 모두 항모에 EMALS를 설치할 가능성이 높다.

또 푸젠함은 기존 두 항모와 달리 전투기는 물론 초계기와 조기경보통제기 등 모든 항공기를 운용할 수 있다. 제원상 함재기 탑재 능력은 최대 40대에 이른다.

중 항모전단 제2도련선 넘는다 

이런 푸젠함이 가동되면 서태평양 지역의 군사적인 균형도 흔들릴 수 있다. 중국이 해양 패권을 노리고 설정한 제1도련선(쿠릴 열도-일본-대만-필리핀-믈라카 해협)을 넘어 제2도련선(오가사와라 제도-괌-사이판-파푸아뉴기니)까지 군사작전 능력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간 랴오닝함과 산둥함이 이끄는 항모전단은 주로 제1도련선 안에서 연합훈련을 해왔다.

지난 4월 9일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의 연합훈련에 참가한 산둥함의 스키점프대 모양의 갑판에서 J-15 전투기가 이륙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지난 4월 9일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의 연합훈련에 참가한 산둥함의 스키점프대 모양의 갑판에서 J-15 전투기가 이륙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단 푸젠함의 실전 배치는 2025년 이후가 될 전망이다. 하지만 중국 해군의 항모 운용능력이 급격히 올라가고 있는 만큼 푸젠함이 전력화와 동시에 무서운 존재감을 내보일 수 있다. 일례로 랴오닝함은 취역 후 9년이 지난 2021년에야 제1도련선 밖에서 항공기 투입 훈련을 했지만, 산둥함의 경우 그 기간을 2년으로 단축했다.

중국 군사전문가인 알렉산더 닐 태평양포럼 연구원은 FT에 “중국의 두 항모는 실험적인 플랫폼이었다”며 “중국 해군은 랴오닝함을 통해 항모 운용 체계를 가다듬으며 간부 그룹을 육성했고, 산둥함을 통해 항모 건조 조선산업을 준비시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 푸젠함이 취역하면 중국 해군은 항모작전을 규모와 속도에 맞게 실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항공모함 산둥함에서 전투기가 이륙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항공모함 산둥함에서 전투기가 이륙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물론 당장 미 해군에 대적할 만큼의 역량은 아니다. 미 해군이 실전을 포함해 수십년간 수행해온 항모작전을 중국이 따라잡으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실제로 랴오닝함과 산둥함의 하루 평균 전투기 출격횟수(Sortie·소티)는 제럴드 포드함의 7분의 1에도 못 미치는 20회 정도라고 한다.

5번함으로 '핵항모' 건조 계획 

미국이 걱정하는 것은 중국의 다음 단계다. 중국이 2025년부터 건조에 들어갈 5번함을 핵추진 항모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장난조선소는 지난 4월 SNS를 통해 핵항모 개념도를 공개한 상태다.

이 때문에 미국이 중국의 해군력 부상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 일본, 호주 등 역내 동맹국들의 군사력 강화를 더욱 종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호주가 미국·영국과의 안보협력체인 ‘오커스(AUKUS)’를 통해 2030년대 초반 이후 핵추진 잠수함을 최대 13척이나 확보하는 것도 그 일환이라 할 수 있다.

호주가 영국의 설계와 미국의 기술 지원을 받아 자체적으로 건조할 핵추진 잠수함 '오커스'의 상상도. 사진 영국 국방부

호주가 영국의 설계와 미국의 기술 지원을 받아 자체적으로 건조할 핵추진 잠수함 '오커스'의 상상도. 사진 영국 국방부

이와 관련, 한국군 소식통은 “앞으로 한국도 핵잠수함 기술 이전 등을 놓고 미국과 논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정부에서 강력히 추진한 사안이지만, 트럼프·바이든 행정부 모두 부정적이었다”며 “그러나 현 정부가 한·미·일 군사협력의 신뢰 토대를 잘 형성해 나가고 있는 만큼 내년 미 대선 결과에 따라 핵잠수함 등 첨단 군사기술의 협력 방향도 더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