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국민을 위한 국민의 기업] ‘푸드테크·그린바이오’ 신산업 생태계 조성에 두 팔 걷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1면

농림축산식품부, K-푸드 산업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집중

국내 12개 푸드테크 기업과 간담회
농업과의 상생사례 발굴하고 공유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협의회’ 발족
탄소 저감, 농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 

농식품부는 3월 27일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서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 협의회’ 발족식을 열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왼쪽 다섯째)이 김진태 강원도지사(왼쪽 넷째), 김관영 전북도지사(왼쪽 여섯째) 등과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농식품부]

농식품부는 3월 27일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서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 협의회’ 발족식을 열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왼쪽 다섯째)이 김진태 강원도지사(왼쪽 넷째), 김관영 전북도지사(왼쪽 여섯째) 등과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농식품부]

농식품부는 지난해 11월 ‘푸드테크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대한민국 식품대전’을 개최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11월 ‘푸드테크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대한민국 식품대전’을 개최했다.

최근 세계적인 한류 열풍과 함께 K-푸드(Food)가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정부는 K-푸드의 산업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두 팔을 걷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푸드테크’와 ‘그린바이오’ 등 신산업 생태계를 집중적으로 조성, 한국 농업의 미래성장 기반 구축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푸드테크 전문인력 양성 등 추진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의 발전에 따라 푸드테크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실제 푸드테크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7년 2110억 달러에서 2020년 5542억 달러로 3년간 연평균 38% 성장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2022년 12월 ‘푸드테크 산업 발전방안’을 마련하고 ▶푸드테크 기업 육성을 위해 안정적 자금 지원 ▶익스트루더 등 공동 활용 시설·장비 이용체계 구축 ▶기업들의 해외진출 지원 ▶푸드테크 전문인력 양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농식품부는 푸드테크 산업 발전을 통한 국산 원료의 이용 확대 및 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농업-푸드테크 간 상생사례를 지속해서 발굴하고 있다. 지난 5일엔 국내 12개 푸드테크 기업과 간담회를 열고 농업-푸드테크 상생사례를 공유하고,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농식품부는 지자체 추천, 언론 보도 등을 통해 119건의 상생 우수사례를 파악한 뒤 5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간편식·케어푸드·식물성대체식품 등 푸드테크 제품 및 소재의 원료로서 국산 농산물 사용을 확대하는 ‘원료공급형’ ▶농업법인이 직접 생산하거나 또는 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원료로 푸드테크 소재로 활용하거나 제품을 제조·판매하는 등 농업법인이 푸드테크 산업에 진출한 ‘직접 참여형’ ▶농업법인과 국산 농산물 사용량이 많은 식품·외식기업이 스마트 제조 등 푸드테크 기술을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 활용형’ ▶농식품 생산·유통 분야 데이터를 생성·연결하는 푸드테크 기술을 플랫폼으로 활용, 생산자-소비자 간 정밀 매칭을 촉진하는 ‘플랫폼형’ ▶개인 맞춤형 식단 등 푸드테크 산업에 최적화된 원료 생산을 위해 스마트팜 등 미래형 정밀 농업과 연계하는 ‘미래농업 연계형’이다. 농식품부는 이를 토대로 농업과 푸드테크 간 구체적인 상생협력 강화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농가-푸드테크 간 상생 활성화를 위해 먼저 푸드테크 산업에 적합한 국산 원료의 생산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민·관 협업을 통해 푸드테크 산업 수요에 맞는 신품종 개발 촉진, 재배 기술 연구 강화, 우수 품종 종자 보급 확대 등을 추진한다. 또한 국내에 확보된 품종들을 대상으로 푸드테크 원료 적합성을 평가하고 우수 품종을 선발해 성분·가공적성 등 원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관리한다.

농가 및 기업을 대상으로 계약재배 활성화를 위한 자금 등의 지원도 강화한다. 푸드테크 기업과 계약재배한 생산자단체에는 품질 개선 교육비, 시설·장비 임차비, 원료 운송비 등을 지원하고, 기업에는 국산원료 매입 자금 융자 지원 및 금리우대, 국산원료를 활용한 신제품 개발과 판촉·홍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계약재배 농가와 기업을 연결하는 ‘원료 중계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식품기업을 대상으로 국산 원료 수요를 파악하고, 농협·지자체를 통해선 계약재배 희망 농업법인, 품목 등의 공급 정보를 파악해 기업-농가 간 매칭을 지원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확산한다.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 수립해 추진

그린바이오 산업은 농업생명자원에 생명공학기술 등을 적용해 농업 및 전·후방산업 전반에 대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산업이다. 종자·동물용의약품·미생물·곤충·천연물·식품소재 등을 포괄하며, 화석연료 기반의 생산을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해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다. 염기서열 정보를 활용한 디지털 육종으로 통상 10년 걸리는 육종 기간을 3~5년까지 단축하거나, 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 농약 개발로 잔류농약 안전성 문제를 사전 해결하고 화학농약을 감축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세계 그린바이오 시장은 2020년 기준 약 1조200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6.7%의 빠른 성장세가 전망된다. 국내 시장은 5조4000억원으로, 세계 시장 대비 0.3% 수준이다.

이에 농식품부는 그린바이오 산업의 세계적 성장에 맞춰 국가적 차원의 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을 지난 2월 수립했다. ▶산업화 촉진 ▶혁신기술 개발 ▶인력양성 및 산업생태계 조성을 중심으로 2027년까지 국내 산업 규모 10조원, 수출 5조원, 세계적 거대 신생 기업(유니콘 기업) 15개 육성을 목표로 한다. 이어 3월엔 정부 부처, 지자체, 유관기관, 전문가 등이 참여한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협의회’를 발족한 뒤 규제혁신, 정보공유 및 기업 간 연계 강화를 도모하고,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법제화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나아가 농식품부는 지자체별 간담회, 그린바이오산업 발전협의회 논의 등을 토대로 그린바이오기업-농업 간 상생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있다. 상생 모델은 2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수요창출형’은 농·축산물이나 천연물 등에서 소재 또는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고 이를 식·의약·화장품 등의 원료로 활용해 새로운 농산물 수요처를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기업은 기능성 상품을 개발해 매출을 높이고, 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작물의 수요를 증가시켜 농가 소득을 창출한다.

두 번째 유형은 ‘혁신기술형’으로, 분자육종·디지털육종 등 신기술을 활용해 신품종을 개발하거나, 유용 미생물로 고품질의 비료·농약·사료첨가제를 개발해 농업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그린바이오기업과 농가 간의 상생은 기업에 새로운 농산물 수요처를 제공해 매출을 증대시키고, 효과적인 농자재를 공급해 생산성 제고와 비용 절감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온다. 나아가 농업을 바이오 기반으로 전환해 탄소 저감 및 환경개선에도 기여하며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첨단 기술 발전과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춰 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신산업을 육성해 농업과 시너지를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한국 농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