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팩플] 보안업계 ‘유니콘’ 키운다…정부, 1조 투입해 글로벌 진출 지원

중앙일보

입력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가 열렸다. 사진 기획재정부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가 열렸다. 사진 기획재정부

국내 보안 시장에서도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 비상장사)이 탄생할 수 있을까. 정부가 1300억원 규모 사이버 보안 펀드를 조성하고 주요 산업 보안 기준을 강화하는 등 정보보호 산업 분야에 예산 1조원을 투입한다. 사이버 안보 강화와 국내 보안 산업 육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목표다.

무슨 일이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보보호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2027년까지 예산 1조1000억원을 투입해 국내 정보보호 시장을 세계 5위 수준인 30조원 규모로 키우겠다는 것. 보안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한 협의체도 조직할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최근 글로벌 보안시장에서 패러다임 선점 경쟁이 강화되며 기업 간 협업과 공조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며 “국내 정보보호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 우리의 힘으로 사이버 안보를 튼튼히 할 수 있도록 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게 왜 중요해

홍진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 정책실장이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정보보호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진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 정책실장이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정보보호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국가 시설 해킹 등 사이버 위협이 늘고 각국의 보안 규제가 강화하면서 글로벌 보안 시장의 성장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츠앤드마켓츠에 따르면 전 세계 정보보호 시장 규모는 올해 약 3019억 달러(약 394조 원)로 2026년까지 연평균 8.5% 성장할 전망. 하지만 국내 보안업계는 중소·중견 기업의 비중이 약 90%를 차지하는 등 규모가 영세한데다 기업들이 내수 시장에 의존하고 있어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이번 전략을 통해 보안 산업의 뿌리를 탄탄히 만들고 실력 있는 업체들의 성장과 해외 진출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안 유니콘, 어떻게 육성하나

① 보안 기준 높이고: 정부는 통신·금융·의료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기존보다 보안 수위를 높인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을 적용하도록 하는 등 보안의 기준을 강화한다. 갑작스러운 해외 정책 변화로 수급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보안·의료 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공급망 관리 체계도 구축한다. 지능형 폐쇄회로(CC)TV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국산 핵심 부품 개발·양산도 지원할 계획. 스마트공장, 스마트헬스케어, 로봇, 우주·항공 등 미래 산업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보안인증 체계를 마련하는 등 융합 보안 분야를 새롭게 개척한다는 목표다. 또 지문·안면 중심의 생체인식 성능 평가 분야를 정맥·홍채 등으로 확대하고,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생체 데이터 구축 규모를 늘려 관련 보안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로 했다. 국내 보안 기술을 활용한 ‘한국형 무인점포’도 개발해 내년까지 상용화한 뒤 소상공인을 위해 보급할 예정이다.

② 협업 기반 만들고: 대·중소기업과 공공기관, 지자체가 함께하는 통합보안 모델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를 조직해 서비스 개발, 해외 진출 시 협업을 유도하기로 했다. 협업 성과에 따라 투자, 법률 자문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 중동·동남아 지역 공공조달 사업 수주를 위해 민·관 협력형 ‘시큐리티 팀 코리아’를 내년부터 운영한다. 여기서 기업들의 해외 보안인증 취득과 인력 조달, 판로 개척까지 분야별 맞춤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③ 산업 생태계 키우고: 기업이 안정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규모를 키울 수 있도록 민·관 합동으로 1300억원 규모 ‘사이버보안 펀드’도 조성한다. 실력있는 보안 기업이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 AI·제로트러스트 등 유망 분야 스타트업과 기업간 인수·합병(M&A)을 통한 통합 서비스 개발 등에 재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신규 기술을 위한 동맹 확보에도 나선다. 미국, 독일, 핀란드 등 사이버보안 기술에 강한 국가들과 공동 연구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고 신흥 시장 공략을 위한 연구도 추진할 예정이다.

앞으로는

정부는 이번 발표가 국내 보안시장의 내실을 다지고 사이버안보 역량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전략은 보안 산업 생태계를 확충해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다는 의미가 있다”며 “정보보호산업 수준이 곧 안보와 직결된다는 인식을 갖고 관련 정책에 적극 힘을 실을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