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0대 기업 '현찰' 상반기 15조 급감...삼성전자는 17조 줄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주요 기업 사옥. 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주요 기업 사옥. 연합뉴스

고금리와 수출 실적 악화 등으로 올해 상반기 국내 대기업의 ‘곳간’ 사정이 팍팍해지고 있다. ‘비상금’ 역할을 하는 현금성 자산이 상반기에만 15조원가량 줄었다. 이처럼 곳간 사정이 여의치 않아지자, 기업들은 다른 기업 보유 지분을 매각하거나, 해외 법인의 본사 배당액을 늘리는 등 ‘실탄' 확보에 나서고 있다.

27일 중앙일보가 매출 상위 20대 기업(금융사 및 공기업 제외)의 올해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 총합은 210조2701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225조1717억원)과 비교해 6개월 만에 14조9016억원 감소했다. 기업 매출 순위는 CEO스코어의 집계를 활용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현금성 자산이 많은 곳은 자산총액 기준으로 재계 1위인 삼성전자(97조999억원)다. 현대차(28조4923억원)와 기아(16조2173억원), 포스코홀딩스(13조8462억원, 채무증권·예금상품 제외) 등이 뒤를 이었다. LG전자(7조2386억원)와 LG화학(6조8461억원), SK하이닉스(6조4825억원), 한화(5조4945억원), 삼성물산(5조522억원) 등이 5조원 넘는 현금성 자산을 쌓아놓고 있었다.

올해 상반기 현금성 자산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도 삼성전자였다. 지난해 말 114조7835억원에서 지난 6월 말 기준 97조999억원으로 줄면서 17조6836억원 감소했다.

이밖에 현금 보유액이 ‘조 단위’로 감소한 기업은 포스코홀딩스(-2조2129억원)와 삼성물산(-1조6691억원), LG화학(-1조6517억원), 한화(-1조1785억원) 등이었다.

감소율이 가장 큰 기업은 GS칼텍스(1조7663억원→1조2851억원)로 27.2% 줄었다. 삼성물산·CJ제일제당(-24.8%) 등이 뒤를 이었고, 포스코인터내셔널·현대제철은 각각 10.3%, 4.4% 감소했다.

같은 기간 현금보유액이 늘어난 기업도 있다. 기아(2조6092억원)와 현대차(1조8528억원), SK하이닉스(1조899억원), SK에너지(1조819억원) 등이다.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HD 현대오일뱅크(1764억원→5208억원)로 195.2% 늘었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코로나19 끝나자 ‘비상금 주머니’ 홀쭉

기업의 ‘비상금 주머니’가 홀쭉해진 건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난 직후다. 코로나19 당시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자 위험 관리 차원에서 현금을 쟁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 167조6482억원에 달했던 이들 기업의 현금보유액은 코로나19가 본격화한 2020년 말 205조3180억원을 거쳐, 2021년 215조3272억원, 2022년 225조1717억원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상황이 바뀌었다. 지난 3월 이들 기업의 현금보유액(222조9475억원)은 지난해 말보다 2조2242억원 감소했고, 또 석 달만인 지난 6월엔 12조6774억원이 더 줄어들었다.

코로나19 이후 이어진 글로벌 경기 침체와 반도체 사이클 다운턴(하락 국면), 중국 리오프닝 효과 부진 등으로 쌓아 놓은 현금이 빠르게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의 체감경기도 악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8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제조업 업황 BSI(67)는 전달보다 5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2월(63)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낮다.

삼성, 보유지분 팔고…‘삼성後자’에 돈 꾸기도

‘실탄’이 줄고 돈 들어올 상황도 나빠지고 있지만, 기업이 돈을 써야 할 곳은 늘고 있다. K-산업 주력 분야인 반도체·자동차·배터리 등은 전형적인 장치산업으로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공급망 재편 등에 대비하려면 시설 투자(케펙스·CAPEX)를 늘려야 한다. 비상금이라도 털어 투자해야 하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각 기업은 대책 마련에 부심 중이다. 4대 그룹은 ‘돈맥경화’를 풀기 위해 지난 6~7월 열린 하반기 전략회의에서 글로벌 경기 침체 등 복합위기 상황 대응방식을 논의했다고 한다.

삼성전자는 적극적으로 현금 확보에 나섰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의 지분 629만7787주(지분율 1.6%, 1분기 말 기준) 중 354만7715주를 매각했다. 이번 지분 매각으로 약 3조원의 자금을 확보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전기차업체 BYD의 주식 238만주(지분율 0.1%·약 1152억원)와 국내 스마트팩토리 장비회사 SFA의 주식 154만4000주(지분율 4.4%·약 676억원)도 각각 매각했다.

해외법인 배당금도 늘리고 있다. 올 상반기 해외법인의 본사(국내 법인) 배당액은 역대 최대인 21조8457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1378억원)보다 158배 늘었다. 삼성전자는 지난 2월 자회사인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20조원을 단기 차입했다.

“현금 안 돌아 실탄 장전 못 해”…유동성 확보 필요

한 재계 관계자는 “고금리·수출 악화 등으로 기업의 영업 현금 흐름 창출 능력이 떨어진 데다, 금리 영향으로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들이 차입금도 줄이고 있다”며 “현금이 돌지 않아 단기 투자 등에 필요한 실탄 장전을 못 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기업이 기대한 만큼 경기가 나아지지 않은 데다 실적도 개선되지 않아 현금 흐름이 악화한 것으로 본다”며 “미국 등 글로벌 경기와 가계 지출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추가 금리 인하나 유동성 추가 공급 등은 어려울 수 있는 만큼 각 기업이 위험관리 측면에서 유동성 있는 자산 확보가 필요해 보인다 ”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