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스전 개발, 탄소 저장 동시에…친환경 에너지 ‘삼각 편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호주의 에너지 기업 산토스가 운영하는 다윈 LNG 터미널 내 이산화탄소 분리 공정을 위한 탄소 포집 설비. [사진 SK E&S]

호주의 에너지 기업 산토스가 운영하는 다윈 LNG 터미널 내 이산화탄소 분리 공정을 위한 탄소 포집 설비. [사진 SK E&S]

호주의 북쪽 끝 북준주(北準州)의 주도(主都) 다윈은 휴양 도시로도 유명하지만 이제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에너지 운영 시스템을 제시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곳이다. 가스전 개발과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을 연결하는 ‘다윈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를 통해서다.

지난 16일(현지시간) 찾은 다윈항 인근 LNG 터미널. 취재진은 안전복에 안전모·고글·귀마개를 착용하고 터미널 중심부로 이동했다. 사방에는 수십m 높이의 원형 탱크와 파이프 등 철제 시설이 가득했다.

터미널을 운영하는 호주 에너지 기업 산토스의 리처드 힝클리 청정에너지 및 CCS 총괄은 각각 30m 이상 원형 탑을 가리키며 “동티모르 바유운단 가스전에서 해저 파이프라인을 통해 천연가스가 들어오면 탑 상부에서 이산화탄소(CO2) 흡수제가 나와 CO2를 아래로 떨어뜨리고, 순수한 LNG는 선박 접안 설비를 통해 각 수요처로 옮겨진다”고 설명했다.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이곳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연 60만t의 CO2를 포집한다. 지금은 걸러낸 CO2를 대기 중에 방출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CCS 기술을 활용해 이르면 올해 말 가스 개발이 끝나는 바유운단 가스전에 영구히 저장할 계획이다. 산토스 관계자는 “연간 1000만t의 CO2를 바유운단 고갈 가스전에 주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산토스는 한편으로 다윈 북쪽 해상에서 바로사 가스전을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다윈 LNG 터미널로 운송하고, CO2는 가스가 고갈된 바유운단 가스전에 저장하는 것이다. 고갈 예정인 가스전에 마련한 CO2 저장고, 새로운 가스전, 운송과 CO2 포집을 맡은 터미널이 ‘삼각 편대’를 이루는 신(新)에너지 개발 모델이다.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바로사 가스전 개발에는 산토스와 국내 기업 SK E&S, 일본 JERA 등이 참여하고 있다. SK E&S는 2020년 산토스로부터 다윈 LNG 프로젝트 지분 25%를 인수했다. 바로사 가스전 개발은 최근 10여년간 1조5000억원을 투자했다. 2025년부터 바로사 가스전에서는 연 350만t 저탄소 천연가스를 생산할 예정이다. 국내에는 3분의 1가량인 130만t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충남 보령 LNG 터미널 인근의 블루수소 플랜트에서 연 25만t의 ‘블루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가스전 개발을 넘어 CCS 기반의 다윈 LNG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된 것은 탄소 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해외자원 개발 모델을 수립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저탄소 LNG를 원료로 한 청정수소 생산이 탄소중립 달성과 국내 에너지 자급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