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IRA 효과에 양극재 美수출 세 배↑…K-전구체 생산기지도 뜬다

중앙일보

입력

윤석열 대통령(오른쪽)이 지난 2일 전북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GSCO)에서 열린 새만금 이차전지 투자협약식에서 구자은 LS그룹 회장(가운데)로부터 전구체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오른쪽)이 지난 2일 전북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GSCO)에서 열린 새만금 이차전지 투자협약식에서 구자은 LS그룹 회장(가운데)로부터 전구체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 이후 K-배터리 소재 타깃 시장이 빠르게 재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의 심장’으로 불리는 양극재가 대표적이다. 올해 1~7월 한국 양극재의 글로벌 수출 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배 가까이 성장했고, 국가별로는 미국 수출 증가세가 큰 것으로 집계됐다.

7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 1~7월 양극재 글로벌 수출액은 98억4000만 달러(약 12조84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67억9900만 달러, 약 8조8700억원)보다 44.73% 성장했다. 특히 대미(對美) 수출 증가세가 대중(對中) 수출보다 눈에 띄게 늘어났는데, 미국 수출액은 지난해 6억6100만 달러(약 8624억670만원)에서 18억3600만 달러(약 2조4000억원)로 178% 성장했다. 반면 중국 수출액은 지난해 29억9100만 달러(약 3조9000억원)에서 올해 33억7600만 달러(약 4조4000억원)로 13% 증가에 그쳤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K-양극재의 미국 수출이 빠르게 성장한 건 지난해 8월 시작된 IRA의 영향이다. 분리막 등 배터리 부품은 북미에서 절반 이상 제조·조립돼야 하지만, 양극재·음극재는 핵심 광물과 같은 ‘구성 소재’로 분류돼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한국에서 생산해도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양극재 재료비의 70%를 차지하는 핵심 원재료 ‘전구체’의 중국 수입 의존도가 높은 건 배터리업계에 숙제다. 전구체 수입의 97%가량(올 1~6월)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IRA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전구체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북미 생산기지 등과 연계해 배터리 제조 효율성도 높이는 게 업계의 과제다. IRA 상 배터리 부품의 북미 제조·조립비중은 올해 50%에서 2029년 100%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이 때문에 업계는 국내에 전구체 생산시설을 세우고 인프라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다. 특히 2차전지 특화단지로 뜬 새만금 국가산업단지는 ‘K-전구체 본산’으로 주목받는다. LS는 하이니켈 양극재 회사 엘앤에프와 합작회사(JV)를 세우고, 총 1조8402억원을 들여 올해 중 새만금 국가산단에 전구체 제조공장을 착공키로 했다.

LG화학과 중국 화유코발트도 2028년까지 1조2000억원을 투자해 새만금 국가산단에 전구체 공장을 세운다. 올해 착공해 2026년까지 5만t 양산 체계를 갖추고, 향후 총 연산 10만t 규모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SK온과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중국 GEM 등도 3자 JV를 세워 연산 5만t 규모의 전구체 공장을 올해 중 착공한다. 투자 규모는 최대 1조2100억원이다.

포스코홀딩스·포스코퓨처엠도 중국 전구체 업체 CNGR과 합자투자계약(JVA)을 맺고, 경북 포항에 니켈과 전구체 생산 공장을 추진한다. 포스코퓨처엠은 이 밖에도 지난해 11월 준공한 전남 광양 양극재 공장 인근에 연산 4만5000t 규모의 전구체 공장을 세울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배터리 소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마중물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황경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 배터리 밸류체인(가치사슬) 중 전구체 등 소재와 원료 조달 부분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미국·유럽 중심으로 탈중국화와 배터리 공급망을 자국에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한국 배터리산업의 취약점을 개선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본다”며 “향후 소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과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R&D)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