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나라 인구 2년 연속 줄었다…내국인 4년 만에 4000만명대

중앙일보

입력

시민들이 서울 광화문 네거리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시민들이 서울 광화문 네거리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가 또다시 줄어들며 1949년 센서스 집계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에 따르면 2022년 11월 기준 총인구는 5169만2000명으로 전년(5173만8000명)보다 4만6000명(0.1%) 감소했다.

인구 증가율은 1960년 3.0%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해왔지만, 2020년까지 증가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2021년 센서스 집계 이후 처음 줄어든 데 이어 지난해에도 감소세가 이어졌다.

지난해 내국인은 전년보다 14만8000명(0.3%) 줄어든 4994만명을 기록하면서 2018년 이후 4년 만에 다시 4000만명대로 내려앉았다. 외국인은 전년보다 10만2000명(6.2%) 늘어난 175만2000명이었다.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 과장은 "코로나19 등으로 고령층 사망자가 늘고 출생률이 하락하면서 총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며 "전년에는 외국인 감소가 인구에 영향을 줬고 이번에는 내국인 감소 영향이 컸다"고 말했다.

연령별로 보면 0∼14세 유소년 인구(586만명)는 전년보다 22만8000명(3.7%) 줄어들면서 센서스 집계 이래 처음으로 600만명대를 하회했다.

15∼64세 생산가능 인구(3668만명)도 전년보다 25만8000명(0.7%) 줄면서 감소세를 이어간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914만명)는 전년보다 44만명(5.1%) 늘면서 빠른 증가세를 유지했다.

이 같은 저출산·고령화 기조가 계속되면서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 인구 부양비는 전년보다 0.5포인트 하락한 16.0을 기록했다. 노년 부양비는 24.9로 1.4포인트 상승했고, 노령화 지수는 2017년(107.3) 대비 48.8포인트 상승한 156.1을 기록했다.

총인구 중 남자는 2583만5000명, 여자는 2585만7000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2만2000명 더 많았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인구가 2612만4000명으로 전체의 50.5%를 차지했다. 수도권·중부권 인구는 전년 대비 각각 0.2%, 0.5% 증가한 반면 호남·영남권 인구는 각각 0.4%, 0.8% 감소했다.

시도별 인구는 경기가 1371만8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941만7000명), 부산(329만6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인구 증가율이 가장 큰 시·도는 세종(4.5%)이었고 인구 감소율이 가장 큰 곳은 울산·대구·부산(-0.9%)이었다.

국내 상주한 외국인 중에서는 한국계 중국인이 52만7000명(30.1%)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20만9000명·11.9%), 중국(20만4000명·11.7%), 태국(16만3000명·9.3%) 순이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총 주택은 1915만6000호로 전년보다 34만4000호(1.8%) 증가했다. 이중 공동주택이 증가세를 이어가며 가장 많은 1508만3000호(78.7%)를 기록했다. 단독주택은 386만1000호(20.2%),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은 21만1000호(1.1%)로 집계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