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단 안도한 식품업계…아스파탐 대체 움직임은 당분간 계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세계보건기구(WHO)가 14일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에 대한 발암성 평가를 마무리하고 '발암 가능 물질'(2B)로 최종 분류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막걸리.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가 14일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에 대한 발암성 평가를 마무리하고 '발암 가능 물질'(2B)로 최종 분류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막걸리. 연합뉴스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이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발암가능물질’(2B군)로 분류했으나 섭취 기준은 현행대로 유지하자 식품 업계가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역시 아스파탐 사용 기준을 현행대로 유지하기로 하면서 “최악은 피했다”는 반응이 나온다. 다만 아스파탐을 다른 원료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와 WHO·유엔식량농업기구(FAO) 공동 산하 기구인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14일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 분류군인 2B에 포함한다고 밝혔다. 일일 섭취 허용량은 기존과 같은 체중 1㎏당 40㎎으로 재확인했다.

현재 많은 제품에 아스파탐을 쓰고 있는 막걸리 업계는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업계 1위인 서울장수의 경우 ‘달빛유자 막걸리’를 제외한 모든 제품에, 지평주조는 ‘생쌀막걸리’ ‘생밀막걸리’ 등 2종에, 국순당은 ‘생막걸리’ ‘대박막걸리’ 등 2종에 아스파탐을 첨가하고 있다.

지난 4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막걸리를 고르는 시민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 4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막걸리를 고르는 시민의 모습. 연합뉴스

막걸리 업계 관계자는 “식약처가 사용 기준을 유지해서 다행”이라며 “아스파탐 하루 섭취량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리는 게 중요한 때”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영세 업체들은 대체 원료를 쓰는 게 쉽지 않고, 막걸리의 맛이 변할 가능성도 있어 우선은 시장 흐름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제과·음료 업계에서는 아스파탐을 대체하려는 시도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발암가능물질(2B군) 분류만으로도 소비자 사이 부정적 인식이 확산할 수 있어서다.

이날 오리온은 나쵸·감자톡 등 일부 제품에 들어간 아스파탐을 다른 원료로 대체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롯데칠성음료도 아스파탐이 들어간 ‘펩시 제로’와 관련해 글로벌 펩시 본사와 협의하고 있다.

14일 서울 한 대형마트의 탄산 음료 진열대에 제로 콜라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연합뉴스

14일 서울 한 대형마트의 탄산 음료 진열대에 제로 콜라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연합뉴스

대형마트 3사 역시 자체 브랜드(PB) 제품에 들어간 아스파탐을 다른 원료로 대체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마트는 노브랜드 ‘제로 콜라’ 등에 함유된 아스파탐을 다른 원료로 대체하기 위해 협력사와 협의 중이다. 과자 등 10여 종의 아스파탐 함유 제품을 판매하는 홈플러스도 원료 대체를 검토 중이다. 롯데마트는 “아스파탐이 들어간 팝콘 등 10종에 대해 대체 원료를 찾아 순차적으로 바꿔나갈 예정이며, 추가 출시 상품에는 아스파탐을 사용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품 업계는 이번 일이 향후 ‘감미료 포비아(공포증)’로 번지지 않을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인공감미료를 이용해 칼로리를 줄인 ‘제로 슈거’ 식품 열풍이 꺾일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한다.

식품 업계 관계자는 “제로 음료 등에 포함된 아스파탐 함량은 WHO에서 정한 일일 섭취 허용량 대비 매우 미미해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식약처는 “60㎏ 성인의 경우 아스파탐이 함유된 제로 콜라 250mL를 55캔 마셔야 일일 섭취 허용량에 도달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