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류태형의 음악회 가는 길

김태한이 우승한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현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류태형
류태형 기자 중앙일보 객원기자·음악칼럼니스트
류태형 대원문화재단 전문위원

류태형 대원문화재단 전문위원

바리톤 김태한의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 순간을 현장에서 봤다. 지난 3일 자정(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팔레 데 보자르에서였다. 지난해 첼리스트 최하영의 우승에 이어 K클래식의 위상을 알린 쾌거였다.

그 하루 전인 2일 오전 오 렌느 가(Rue aux Laine)에 있는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사무국에서 사무총장 니콜라 데르농쿠르를 만날 기회가 있었다. “결선 12명 중 3명이 한국인입니다. 한국 지원자들은 준비가 잘 돼 있어요. 제출하는 영상물부터 다릅니다. 참 잘 만들어오죠.” 2019년 마틸드 왕비와 한국예술종합학교를 방문했던 그는 “높은 교육수준, 동기 부여와 재정 투자도 인상적이었다”며 “젊은이들의 클래식 음악에 대한 열정에 고무됐다”고 말했다.

벨기에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를 이끌어가는 니콜라 데르농쿠르 사무총장. [사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벨기에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를 이끌어가는 니콜라 데르농쿠르 사무총장. [사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올해엔 전 세계 412명이 콩쿠르에 지원했다. 기록적인 숫자다. 청중도 달라졌다. 1차 경연 때부터 홀이 만석이었고, SNS 팔로워 수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그는 “공연장에 익숙하지 않았던 사람들이 홀을 찾고 있다. 고무적인 변화”라고 말했다. 조수미 등 성악가들 외에 엑상프로방스 페스티벌 감독을 맡았던 포크롤을 심사위원장에 앉히고, 반주 피아니스트인 헬무트 도이치 등 다른 시각과 조망으로 참가자의 장점을 파악할 수 있는 심사위원들을 섭외했다.

정부 지원보다 왕가와 개인 스폰서들의 도움으로 재정을 유지하는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는 토탈에너지기금·롤렉스·BNP파리바은행·내셔널로터리·벨기에텔레콤 등 기업들의 후원으로 콩쿠르를 꾸려나간다.

데르농쿠르는 이 콩쿠르에서 일한 지 25년이 넘었다. 사무국 인원은 데르농쿠르를 포함해 7명에 불과하다. 많은 부분을 방대한 ‘협업’으로 헤쳐간다. 데르농쿠르는 “유럽과 미국의 많은 이들과 함께한다. TV와 라디오 인력도 우리를 돕는다. 자원봉사자들, 호스트 패밀리도 역할을 한다. 오케스트라, 홀과의 손발도 잘 맞는다”며 “참가자 한 사람 한 사람이 본인의 나라에 자부심을 갖는 일에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또 “클래식 연주가의 삶은 쉽지 않다. 더 전문적인 환경 속에 있도록 도와야 한다”며 “수상자들과 공연기획자나 매니저들을 연결해주려 한다”며 협업을 강조했다. 콩쿠르가 끝나면 심사위원들과의 허심탄회한 토의가 이어진다. 예술적인 수준, 작동이 잘된 일들과 바뀌어야 할 일들을 논의한다. “당연한 일들도 다시 생각하고 재평가하는 과정에서 발전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올해 콩쿠르는 끝났지만 중요한 일들은 계속된다. 오는 25일까지 김태한을 비롯한 수상자들이 벨기에 국내에서 여러 오케스트라와 공연한다. 9월에는 수상자들의 한국 투어, 이후에는 유럽 투어가 예정됐다. 내년에는 미국과 브라질 투어를 하고 5월부터는 바이올린 부문의 콩쿠르가 시작된다. 쉴 새 없이 돌아가는 일정을 소화하는 사무국 직원들의 열정이 눈부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