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국 주도 경제협력기구 IPEF, 공급망 협정 타결 첫 성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왼쪽 일곱째)이 27일(현지시간)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장관회의에 참석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산자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왼쪽 일곱째)이 27일(현지시간)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장관회의에 참석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산자부]

미국이 주도하고 한국 등 총 14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경제협력기구인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가 지난해 5월 출범 후 처음으로 공급망 협정을 타결했다. 27일(현지시간)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IPEF 장관회의에서다.

미국 상무부는 이날 ‘IPEF 획기적 공급망 협정의 실질적 타결’이란 제목의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협정은 우리의 공급망을 더욱 탄력적이고 경쟁력 있게 만들고 인력 개발, 공급망 모니터링, 투자 촉진 및 위기 대응 등의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협력의 틀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상무부는 “공급망 취약성이 심각한 병목 현상이 되기 전에 기업이 이를 인지하고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등 주요 부문의 회복력과 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한 부문별 실행계획의 개발을 감독하는 ‘IPEF 공급망 위원회’(IPEF Supply Chain Council)를 설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무부는 특히 “IPEF는 하나 이상의 파트너가 심각한 공급망 위기에 직면했을 때 긴급 커뮤니케이션 채널 역할을 할 ‘IPEF 공급망 위기 대응 네트워크’(IPEF Supply Chain Crisis Response Network)도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급망 위기 발생 시 상호 공조 체제를 가동해 대체 공급처를 파악하거나 대체 운송 경로를 개발하는 등 협력을 강화한다는 취지다.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은 “(협력) 네트워크를 사전에 구축함으로써 공급망 문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이번 협정이 미국 국민에게 매우 독특하고 중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바이든 정부 주도로 지난해 5월 공식 출범한 IPEF에는 미국과 한국 외에 일본·호주·인도·뉴질랜드·피지·동남아시아 7개국 등 14개국이 들어 있다. 이들 14개국의 국내총생산(GDP)을 모두 합치면 약 34조6000억 달러로, 전 세계의 40.9%를 차지한다. IPEF는 지난해 9월부터 ▶무역 ▶공급망 ▶청정 경제 ▶공정 경제 등 4개 분야에서 협상을 벌여 왔고, 이번에 공급망 분야에서 가장 먼저 합의가 이뤄졌다.

IPEF는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을 주도하며 인·태 지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꾀하는 중국을 견제하는 성격이 강한 만큼 이번 공급망 협정 타결에 중국이 어떤 반응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다만, 타결 소식을 발표하는 성명에 탈동조화(decoupling) 등 중국을 겨냥하는 표현이 담기지 않았다는 점 등에서 대중 압박 의미는 그리 강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