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RE100'에 원전 더했다…'CF100' 정부·기업 손잡고 제도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앞줄 왼쪽 일곱 번째)이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CFE(무탄소 에너지) 포럼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앞줄 왼쪽 일곱 번째)이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CFE(무탄소 에너지) 포럼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에 'RE100' 대신 'CF100'이 자리 잡을 수 있을까. 정부가 주요 기업들과 함께 원전을 포함한 무탄소 에너지(CFE) 관련 제도화를 본격 추진키로 했다. 재생에너지 확대가 쉽지 않은 국내 여건을 고려한 움직임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CFE 포럼' 출범식을 가졌다. 포럼엔 삼성전자·LG에너지솔루션·SK하이닉스·포스코 등 주요 에너지 수요기업, GS에너지·두산에너빌리티 등 에너지 민간 기업, 업종별 협·단체, 발전 공기업, 전문가 등이 참여했다.

CFE(Carbon Free Energy)는 '무탄소 에너지'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모든 에너지원을 말한다. CF100 캠페인은 사용 전력의 100%를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와 원전, 수소 등으로 충당하자는 것으로, 2018년 유엔에너지·구글 등이 발족했다. 2014년 다국적 비영리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에서 시작한 RE100 캠페인(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에 원전 등이 추가된 셈이다. 다만 CF100은 참여사가 70여곳 수준으로 애플 등 글로벌 기업 400여개가 가입한 '대세' RE100에 밀리는 상황이다.

포럼의 출범 배경은 이러한 자율적 민간 캠페인 RE100이 사실상 환경 '무역장벽'으로 작용하지만, 한국은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대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의식이다.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원자력·청정수소 등을 각국 여건에 맞춰 적용하면 기업 부담을 줄이고 탄소중립 속도도 높일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RE100은 의미 있는 캠페인이지만 국내 여건상 기업에 큰 부담이 되는 게 사실"이라면서 "무탄소 에너지 개념을 활용한 포괄적 접근을 통해 우리 현실에 맞는 정책·제도를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북 울진의 신한울 1호기 전경. 뉴스1

경북 울진의 신한울 1호기 전경. 뉴스1

포럼은 오는 7월부터 대한상의를 중심으로 본격 활동에 나선다. 올해 안에 무탄소 에너지 인증 제도 도입안을 마련하고, 내년엔 시범사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무탄소 에너지 확산을 위해 정부·기업이 국제적인 공감대 형성에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앞서 한덕수 국무총리는 8일(현지시간) 울프 크리스터손 스웨덴 총리와 만나 CF100을 글로벌 의제로 만들자고 제안한 바 있다. 한 총리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RE100보다 CF100으로 가야 한다"면서 "양국이 이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CF100은 상대적으로 현실성 높고 원전 비중이 높은 한국에 유리하지만, 풀어야 할 과제도 있다. 이미 국내·외 글로벌 기업 사이에선 RE100이 빠르게 뿌리 내렸기 때문에 국제 사회 지지를 얻어야 각 기업이 적극적으로 '후발 주자' CF100을 채택할 수 있다.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무탄소 에너지 인증 등 제도적 기반도 탄탄하게 다져야 한다.

손양훈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는 "CF100의 국제적 인정 여부가 불확실한 만큼 원전 보유국의 동참을 유도하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국제적 이니셔티브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