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제작진이 그려낸 ‘성난 사람들’에 세계가 호응하고 있다. 지난 6일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성난 사람들’은 미국 제작사 A24가 만든 미국 드라마지만, 제작진부터 출연진 라인업 모두 한국계로 가득할 뿐 아니라 작품 곳곳에 한국적 정서가 짙게 깔린 작품이다.
줄거리는 간단하다. 벌이가 변변찮은 도급업자 대니(스티븐 연)와 성공한 사업가이지만 삶이 불만족스러운 에이미(앨리 웡)는 대형마트 주차장에서 서로 차량이 부딪힐 뻔한 순간을 계기로 도로에서 분노의 추격전을 벌인다. 사소한 시비에서 시작된 갈등은 상대의 집에 오줌을 뿌리거나 차에 낙서를 하고 도망치는 유치한 복수로 이어지더니, 점차 서로의 일과 가족을 망가뜨리는 파국으로 치닫는다.
작품의 원제 ‘비프(Beef)’는 ‘불평’ 혹은 ‘불평을 해대다’는 뜻의 속어. 제목 그대로 불평불만 가득한 주인공들의 지독한 복수 결투를 그린 이 블랙 코미디는 4월 2주차(10~16일) 넷플릭스 공식 톱10 순위(영어 시리즈 부문)에서 2위를 차지하고, 리뷰 사이트 IMDb 평점 8.3점(10점 만점), 로튼토마토 언론·평단 신선도 지수 98%를 기록하는 등 호평 세례를 받고 있다. “‘오징어 게임’ 이후 넷플릭스 최고작”(영국GQ) 등의 찬사부터 “‘비프’를 위한 에미상을 미리 닦아 놔라”(ABC뉴스) 등 내년도 주요 시상식 수상까지 벌써 점쳐진다. ‘성난 사람들’을 이토록 특별한 작품으로 만든 요소는 무엇일까.
때론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극한을 달리는 두 주인공의 분노는 사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억누르고 사는 어두운 내면의 표출이라는 점에서 공감을 자아낸다. 재미 한인 2세인 대니는 미국에서 하던 모텔 사업이 망한 뒤 한국으로 내쫓긴 부모님과 자신에게 얹혀사는 철부지 남동생을 부양해야 한다는 책임감에 짓눌린 상태다. 잘 나가는 사업가 에이미는 언뜻 남 부러울 것 없어 보이지만, 딸을 제대로 돌보지 못한다는 부채감에 시달리고, 이상주의적인 예술가 남편을 대신해 생계를 유지하는 일상에 지칠 대로 지쳤다.
둘은 같은 동양계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성별도 계급도 다르지만, 무거운 삶의 무게와, 그 무게를 버티기 위해 사회적 가면을 쓰는 것에 신물이 났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서로를 닮아있다. 이들이 서로를 죽일 듯 혐오하는 건 어찌 보면 상대의 모습에서 발견한 스스로의 곪은 내면을 그냥 두고 볼 수 없어서인 셈이다. 파탄으로 치닫는 인물들의 처지를 보면서 미묘한 카타르시스와 치유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는 건 그런 이유에서다.
‘성난 사람들’은 이처럼 보편적인 공감대를 확보하는 동시에, 아시아계 이민자들의 삶에 대한 세밀한 묘사로 특수성 또한 획득한다. 영화 ‘미나리’(2021) ‘버닝’(2018)으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한국계 미국 배우 스티븐 연이 연기한 대니는 극 중에서도 어릴 적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 2세로,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하지만 한국적인 사고방식이 남아있는 인물로 그려진다. 동생에게 “참한 한국 여자와 결혼하라”고 잔소리하는 장면이 대표적이다. 중국계 이민자인 에이미 역시 시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자기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등 아시아인 특유의 억눌린 감정을 안고 살아간다.
자신이 실제 경험한 난폭운전 시비를 계기로 ‘성난 사람들’을 기획했다는 이성진 감독은 그 자신도 재미교포로, 이야기 곳곳에 자신이 자라면서 경험한 요소들을 녹여냈다. 특히 한인 교회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재미교포 커뮤니티를 자세히 다룬 지점은 그간 나온 어떤 이민자 서사에서도 볼 수 없었던 부분이라는 점에서 리얼리티를 끌어올린다.
이 감독은 넷플릭스와의 사전 인터뷰에서 “한인 교회는 한국계 미국인 공동체를 이루는 주요한 부분인데, 영화나 TV에서 한 번도 묘사된 적 없다는 게 이상했다”며 “교회 장면을 찍을 때 ‘이토록 우리(한국계 미국인) 스스로에게 익숙한 상황을 찍는 건 처음이다’라는 생각에 기분이 좋았다”고 돌이켰다.
그는 또 “이번 드라마에는 다른 작품들과 달리 많은 아시아계 작가들이 함께했다”며 “실제 경험들을 토대로 한 덕분에 한인 교회나 형제 및 고부 관계 묘사에 디테일을 살릴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후바스탱크, 토리 에이모스 등 1990년대 음악을 주로 사용한 사운드트랙과 회차마다 붙은 시적인 제목은 작품을 한층 다채롭게 만든다. 이 감독은 90년대 음악을 사용한 이유에 대해 “등장인물들이 모두 저마다의 이유로 과거에 얽매여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며 “그런 점에서 우리가 그리 멋지지 못했던 시절의 오래된 노래들을 사용하는 게 잘 맞아 떨어진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새들은 노래하는 게 아니야, 고통에 울부짖는 거지’(1화), ‘내 속엔 울음이 산다’(3화)와 같은 시적인 소제목들은 독일 영화감독 베르너 헤어조크, 미국 시인 실비아 플라스 등 유명인들이 남긴 문장에 따온 것이다. 특히 “깨달음은 빛의 형상을 상상하는 게 아니라, 어둠을 알아차림으로써 얻게 되는 것”이라는 칼 융의 문장에서 따온 마지막회 제목(‘빛의 형상’)에 대해 이 감독은 “이 작품이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