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IMF 올해 韓 경제성장률 전망 1.7→1.5%로 ‘또’ 낮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또’ 내려 잡았다. 2%에서 1.7%로 하향 조정한 지 불과 석 달 만에 1.5%로 끌어내렸다. 한국은행이나 정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보다 더 부정적인 전망이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10일(현지시간) 미국 IMF 본부에서 열린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10일(현지시간) 미국 IMF 본부에서 열린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IMF는 이런 내용의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를 공개했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2.8%로 제시했다. 지난 1월 전망 때보다 0.1%포인트 낮춰 잡았다. 내년 세계 성장률도 3.1%에서 3%로 하향 조정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금융시장 변동성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지표들로 인해 세계 경제전망을 둘러싼 안개가 더 짙어졌다”는 진단과 함께다.

한국 경제에 대한 평가는 더 부정적이다. IMF는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1.5%, 2.4%로 각각 수정 전망했다. 3개월 전 발표했을 때보다 0.2%포인트씩 더 낮췄다. 이날 IMF가 제시한 올해 수치(1.5%)는 한은(1.6%)이나 정부(1.6%), OECD(1.6%), 한국개발연구원(KDI, 1.8%)보다도 낮다.

IMF는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다른 주요국보다 더 빨리, 더 많이 내려 잡고 있다. IMF는 매년 1ㆍ4ㆍ7ㆍ10월 네 차례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를 펴낸다. 지난해 4월만 해도 IMF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3%에 근접한 2.9%로 예상했지만, 이후 수정 전망 보고서를 낼 때마다 2.1→2.0→1.7→1.5%로 쉬지 않고 하향 조정하고 있다. 한국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그만큼 빠르게 어두워지고 있다는 의미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미국(0.2%포인트), 영국(0.3%포인트), 이탈리아(0.1%포인트), 스페인(0.4%포인트) 등은 올해 성장률 예측치가 1월 전망 대비 상향 조정된 것과 대조된다. 한국처럼 하향 조정된 국가는 독일(-0.2%포인트), 일본(-0.5%포인트), 인도(-0.2%포인트) 등이다.

IMF는 보고서에서 세계 경기가 ‘험난한 회복(a Rocky recovery)’ 과정에 있다고 평가했다. 코로나 위기를 딛고 살아나는 듯 했던 경제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고물가 장기화로 다시 고꾸라질 위험에 직면했다고 분석했다. 미국 지역은행 2곳의 갑작스러운 파산과 초대형 은행인 크레디트스위스(CS) 붕괴로 드러난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로 번질 가능성에 특히 주목했다.

그러면서 IMF는 5년 뒤(중기) 세계 성장률을 3%로 예상했다.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간하기 시작한 1990년 4월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IMF는 중기 성장률 하락의 중심에 있는 국가로 한국과 중국을 지목했다. 신흥시장을 발판 삼아 수출로 빠르게 몸집을 키웠던 한국 경제가 저성장의 늪에 빠져들기 시작했다는 경고다. 이날 한은이 기준금리 연 3.5% 유지 결정을 내린 것도 한국 경기 둔화 위험이 그만큼 커졌기 때문이다.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모습. 뉴스1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모습. 뉴스1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올 하반기 세계 경제가 살아날 것이란 기대와 달리 회복 시기가 점점 늦춰지고 있다”며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영향을 더 크게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대(對) 중국 수출 부진, 반도체 가격 하락 등 대외 여건도 부정적인 데다 고금리 속 기업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가계 부문 부실 위험도 커지고 있다”고 짚었다.

IMF는 보고서에서 크게 불어난 공공ㆍ민간부채, 신흥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한 신용 위험 등을 불안 요인으로 지적했다. 대응 방안으로 기대 인플레이션이 낮아질 때까지 긴축적인 통화ㆍ재정정책을 유지하면서 재정 적자와 부채 규모를 지속해서 줄여나가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취약계층에 대한 생계비는 선별적으로 지원할 것을 주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