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년간 전국 아파트값 17.2% 하락…인천 21.5% 빠져

중앙일보

입력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뉴스1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뉴스1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가 1년 새 17.2% 하락했다. 지역별로 인천이 가장 많이 내렸고, 서울에선 노원구와 도봉구의 하락률이 20%대를 기록했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부 실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체 딥러닝 모형을 통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기준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2%로 집계됐다.

시도별로 가장 크게 하락한 지역은 인천으로 -21.5%였다. 이어 세종(-19.9%), 경기(-19.8%), 대구(-18.9%), 대전(-18.1%), 부산(-16.6%), 서울(-16.6%) 순으로 나타났다. 먼저 침체를 겪은 대구와 세종을 제외한 타 지역은 2022년 7월부터 전년 대비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특히 2021년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오른 경기와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하락 전환 속도가 빨랐다.

이런 가운데 수도권 3개 시도와 세종시는 올해 들어 하락세가 둔화하고 일부 반등이 시작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여전히 지난해보다 -10% 이상의 하락률을 보였다.

서울에선 지난달 기준 노원구와 도봉구의 아파트 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0.4%, 20.0%로 하락했다. 이외에도 강동구(-19.1%), 구로구(-18.9%), 양천구(-18.9%), 금천구(-18.4%) 등에서 하락률이 높았으며, 서울 중심권 3개 자치구(종로·용산·중구)는 타 지역보다 비교적 하락률이 낮았다.
주요 권역별 추이를 살펴보면 동남권의 경우 서초구가 타 지역과 비교해 전년보다 하락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구는 2022년 침체기의 가격 하락 속도가 동남권에서 가장 빨랐으나 올해 들어서는 하락률이 줄어들고 반등이 시작되는 추세를 보였다.

서울의 한 대형아파트 상가 내 부동산 업소 창문이 급전세와 급매매 안내문이 빼곡히 붙어 있다. 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아파트 상가 내 부동산 업소 창문이 급전세와 급매매 안내문이 빼곡히 붙어 있다. 연합뉴스

수도권 전철 주요 노선별로 보면 지난달 기준 4호선 역세권 아파트의 가격 변동률이 -19.7%로 가장 많이 하락했다. 3호선(-16.6%)은 비교적 하락률이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1호선과 4호선, 신분당선 역세권 아파트의 경우 2021년 시장 호황기 때 비교적 높은 가격 상승을 보였으나 2022년 침체기에 들어서면서 가파르게 하락 전환했다. 서울 내 주요 업무지역을 지나는 2호선 역세권 아파트는 호황기 때의 상승률과 침체기의 하락률이 모두 낮아 상대적으로 가격 변동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락세가 큰 지역은 공통으로 저금리 시기에 높은 가격 상승을 받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고가 아파트에 대한 대출 규제로 인해 주택 매입자금 마련이 어렵게 되면서 GTX 개통 예정으로 인한 호재가 존재하고 중심지역으로의 통근이 가능한 지역에 수요가 몰렸다.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레버리지 비율이 높은 지역이 되면서 미국발 금리 인상의 타격을 더 크게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올해 들어 수도권 3시 시도와 세종시에서는 부동산 규제 완화와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단기간의 가격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일부 반등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면서도 “지난 1년여 동안 아파트 거래량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음을 고려하면 고금리와 높은 가격으로 인해 긴 시간 관망하면서 대기했던 매수 희망자가 일부 거래에 참여하면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미 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등 긴축 기조가 당분간 지속할 수 있어 현시점에서 섣부르게 향후 시장 동향을 예단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