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치매 위험성 밝혀졌다…'회색 하늘'에 꼭 마스크 써야하는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이 대뇌피질 두께를 줄이고 인지기능을 떨어뜨려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의과대 예방의학교실 조재림·김창수 교수와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14년 8월부터 32개월간 서울·인천·원주·평창에서 뇌 질환이 없는 건강한 50세 이상 640명을 대상으로 초미세먼지(PM2.5), 미세먼지(PM10), 이산화질소(NO3) 등 주요 대기오염 물질이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인바이런먼트 인터내셔널’ 최신호에 게재됐다.

지난 7일 오전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이 미세먼지로 뿌옇게 보이고 있다. 뉴스1.

지난 7일 오전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이 미세먼지로 뿌옇게 보이고 있다. 뉴스1.

연구 결과,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10㎍/㎥, 이산화질소가 10ppb 높아질 때 대뇌피질 두께가 각각 0.04㎜, 0.03㎜, 0.05㎜ 줄었다.

대뇌피질은 대뇌 표면에 신경세포가 모여 있는 곳이다. 기억과 학습 능력 등 여러 뇌 인지기능을 담당한다. 대뇌피질의 변화는 알츠하이머 치매 등 뇌 질환과 연관이 깊다. 실제로 건강한 일반인의 대뇌피질 두께는 평균 2.5㎜지만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는 2.2㎜로 더 얇다.

대상자들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와 마찬가지로 대뇌피질의 전두엽과 측두엽, 두정엽, 뇌섬엽 등 네 가지 부위 모두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부위는 사고력과 주의력, 공간지각력, 기억력을 관장해 줄어들면 그 기능이 떨어져 치매가 발병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미세먼지 농도가 10㎍/㎥씩 높아질 때마다 전두엽 두께는 0.02㎜, 측두엽 두께는 0.06㎜ 감소했다. 초미세먼지 농도의 경우 10㎍/㎥씩 상승할 때마다 측두엽 두께가 0.18㎜ 줄었다. 이산화질소 농도가 10ppb 증가하면 전두엽과 두정엽이 0.02㎜, 측두엽은 0.04㎜, 뇌섬엽은 0.01㎜ 감소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조재림·김창수 교수와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 사진 연세대 의대 제공.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조재림·김창수 교수와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 사진 연세대 의대 제공.

대기오염 물질 농도가 오르면 인지기능 역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농도가 10씩 증가할 때마다 인지기능 점수가 각각 0.69점, 1.13점, 1.09점 떨어졌다. 연구팀은 “대기오염 물질로 인해 연구 대상자들의 계산, 언어, 기억 능력 등이 감퇴한 것을 의미한다”라고 주장했다. 알츠하이머 치매로 이어지기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의 위험도 각각 1.5배, 2.2배, 1.7배로 올랐다.

그간 선행 연구에서 대기오염 물질이 대뇌피질 위축에 영향을 주는 것은 확인했지만, 이러한 현상이 실제 인지기능 저하와 알츠하이머 치매로 이어진다는 근거는 없었고 이번에 밝혀낸 것이란 게 연구팀 설명이다. 조재림 교수는 “대기오염이 심할 때는 외출을 삼가며 바깥 활동 시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