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방첩사령부가 23일 역술인 천공이 대통령 사저 선정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부승찬 전 국방부 대변인의 자택과 국방부 대변인실을 압수수색했다.
그런데 중앙일보의 취재 결과 이날 방첩사의 압수수색은 단순히 '천공 관련 의혹'에 대한 수사가 아닌, 부 전 대변인이 국방부에 재직 중에 알게 된 주요 군사기밀을 자신의 저서에 담아 공개했다는 이유로 이뤄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일 오후 제주시 김만덕기념관에서 부승찬 전 국방부 대변인이 자신의 신간 '권력과 안보-문재인 정부 국방비사와 천공 의혹' 북콘서트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방첩사는 이날 오전 서울 성북구의 부 전 대변인의 집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오후엔 서울 용산구 국방부 대변인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었다. 압수수색의 구체적 범위는 ‘수사 중인 사안’을 이유로 공개하지 않았지만, 취재 결과 부 전 대변인이 국방부에서 사용했던 컴퓨터 등이 압수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방첩사가 밝힌 부 전 대변인의 혐의는 군사기밀보호법 위반에 관련된 사안이다. 이날 압수수색은 부 전 대변인이 군사기밀보호법을 위반했다는 신고가 접수되면서 관련 절차에 따라 진행됐다고 한다. 부 전 대변인은 민간인 신분이지만 군사기밀보호법의 경우 민간인도 수사 대상에 오를 수 있다.
방첩사 관계자는 “군사법원법에 부여된 수사 권한 중 하나가 군사기밀보호법에 관련된 사안”이라며 “군사기밀 유출에 대해선 민간인도 수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실제 방첩사는 이 규정에 따라 방산업체와 관련한 군사기밀 유출 혐의로 민간인에 대한 수사에 나섰던 사례가 있다.
방첩사가 진행하는 수사의 핵심은 부 전 대변인이 최근 발간한 『권력과 안보』라는 책에 담긴 내용이다.
해당 책에는 부 전 대변인이 국방부 대변인으로 재임했던 기간에 겪었던 뒷얘기들이 담겨있는데, 이 가운데는 한·미 국방장관의 연례 회담인 한·미안보협의회의(SCM) 관련 내용 등 군 당국이 기밀로 간주할 만한 대목도 포함돼있다. 이 때문에 군 관계자들 사이에선 부 전 대변인에 대한 전격적인 수사가 전반적 군사기밀 유출을 겨냥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가 나온다.
![서욱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2021년 12월 2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제53차 한·미 안보협의회의(SCM) 회담을 마치고 브리핑룸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2/24/36773bb9-4cbe-4d25-9f0c-68cf4f24b968.jpg)
서욱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2021년 12월 2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제53차 한·미 안보협의회의(SCM) 회담을 마치고 브리핑룸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실제 책에는 2021년 SCM 당시 서욱 당시 국방부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 라캐머라 연합사령관의 비공개 회담 내용이 실렸다. 전시지휘소를 CP탱고로 결정하자는 미측 주장에 서 전 장관이 승인을 유보했다거나, 한·미 워킹그룹 구성을 놓고 오스틴 장관과 달리 서 전 장관은 로우키(Low-Key) 태도를 보였다는 등 민감한 내용이 적지 않다.
군 관계자는 이날 중앙일보에 “부 전 대변인이 천공 관련 의혹을 자신의 저서에 담으면서 논란이 됐던 것은 사실이지만, 단순히 해당 의혹 때문에 이번 압수수색이 진행되진 않았을 것”이라며 “해당 사안은 군사기밀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부 전 대변인은 자신의 저서에서 역술인 천공이 대통령실 이전을 놓고 육군참모총장의 한남동 공관과 육군 서울사무소를 둘러봤다는 의혹을 제기헸다. 대통령실은 부 전 대변인의 주장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을 내고 부 전 대변인을 고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