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부동산 침체에 ‘시한폭탄’ 된 PF…저축은행·증권, 연체율 치솟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부동산발 침체의 먹구름이 금융권으로 몰려가고 있다. 건설 공사에 차질이 생기자 당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으로 공사 자금을 지원한 금융권이 떨고 있다. 저축은행과 증권 등 비은행권의 PF 연체율이 높아지며 시장의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전체 금융권(은행·보험·여전·저축은행·증권 등)의 PF 잔액은 112조2000억원이다. 이 중 여전사나 저축은행, 증권 등 비은행권의 PF(83조9000억원)가 전체의 75% 정도를 차지한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문제는 비은행권 PF의 높아지는 연체율이다. 7일 금융감독원의 ‘올 상반기 부동산 업종별 신용공여 한도 준수 및 자산건전성 분류 현황’에 따르면 이미 79개 저축은행 중 일부의 PF(부동산·건설업) 연체율이 10~20%대로 올라섰다. 부산 일대의 한 저축은행 연체율(대출 잔액 중 1개월 이상 미상환된 잔여 원금 비중)은 29% 수준이다. 287억원 중 연체액은 85억원이다. 증권사의 PF 대출 연체율도 2019년 1.9%에서 올해 3월 말 4.7%로 올랐다.

PF는 근본적으로 위험성이 큰 구조다. 국내 부동산 시장은 ‘선 분양 후 시공’ 방식이 일반적이다. 금융권 입장에서 PF는 매력적이다. 위험성이 큰 만큼 수입이 짭짤해서다. 우선 대출금이 수 백억원에서 수조원에 이르는 데다 이자도 연 10%를 웃돈다. 해당 부동산이 잘 팔려서 ‘대박’이 나면 대출 조건에 따라 30%가 넘는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 물론 부동산 호황기 기준이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문제는 요즘 같은 부동산 불황기다. PF의 매력이 위험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PF를 낀 부동산 사업은 ‘프로젝트 끝’으로 불리는 완공까지 대개 2~3년, 길게는 10년 이상 걸린다. 이 기간에 PF를 내준 금융권도 위험성을 안고 가야 한다. 완공 후에도 불황이 이어져 해당 부동산이 주인을 찾지 못하면 이자는커녕 원금 회수도 어려울 수 있다.

최근의 상황은 좋지 않다. 급작스러운 금리 인상 여파로 공사가 중단된 건설 현장이 속속 늘고 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충북 충주에서 진행 중인 아파트 공사가 최근 중단됐다. 이 아파트를 짓고 있는 우석건설이 지난달 말 납부기한 내 어음 결제를 하지 못해 1차 부도가 났다.

임채우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PF는 만기까지 기간이 짧게는 2~3년, 길게는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당장 급한 불은 끌 수 있어도 ‘시한폭탄’을 떠안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