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카카오페이 전부 먹통, 카뱅은 일부 마비…뭐가 운명 갈랐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금융감독원이 ‘카카오 먹통’ 사태로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 카카오증권 등 금융계열사의 비상대응이 적절한 지 점검에 나섰다. 특히 카카오페이는 지난 15일 발생한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송금ㆍ결제 등 주요 기능이 지난 16일 오후까지 먹통이 되는 등 심각한 장애를 겪었다. 화재가 난 판교 데이터센터를 주로 사용한데다, 예비 데이터센터로의 전환도 늦어진 결과다.

일러스트 = 김지윤 기자 kim.jeeyoon@joongang.co.kr

일러스트 = 김지윤 기자 kim.jeeyoon@joongang.co.kr

카카오페이는 이번 화재의 직격탄을 맞았다. 카카오페이는 송금 및 결제 서비스가 중단되고, 화재 발생 하루 뒤인 지난 16일 오후에서야 기능이 복구되기 시작했다. 다만 여전히 카카오톡과 연계된 송금 알림톡이나 상담 기능 등은 작동하지 않고 있다.

카카오페이 서비스의 먹통이 길어진 건 화재가 발생한  SK C&C 데이터센터를 주데이터센터로 사용하고 있었던데다, 백업 데이터센터(재해복구센터)로의 이관 절차도 늦어지면서다. 카카오페이는 주데이터센터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가산디지털센터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서 대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카카오페이도 당연히 국내 여러 데이터센터에 데이터를 나눠두는 이원화시스템을 통해 주데이터센터에서 재해가 발생할 경우 정상적인 데이터센터로 트래픽이 자동 전환돼 복구하도록 설계돼 있다”면서도 “다만 이번 경우는 화재로 인해 판교 데이터센터의 모든 시스템 전원이 동시에 차단이 돼 수동으로 트래픽 전환 작업을 하다보니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고 설명했다.

별도의 데이터센터를 둔 카카오뱅크는 서비스 마비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카카오톡과 관계 없는 계좌이체 등 은행 관련 기능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다만 카카오톡을 통한 간편 이체(1일 100만원 한도)나 카카오톡을 통한 로그인 등 일부 작동하지 않았지만, 17일 오후 12시 9분부터 카카오와 연계된 서비스를 포함한 모든 카카오뱅크 서비스가 정상화됐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카카오뱅크는 주전산센터가 상암에 위치하고 있어 이번 화재에 전산상 직접 손상은 없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카카오뱅크는 별도의 데이터 센터를 다중으로 구축해, 고객의 정보와 서비스 이용 내역은 여러 개의 데이터 센터에서 다중으로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주데이터센터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재해복구를 담당하는 야탑센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밖에 부산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모든 데이터의 백업이 실시간으로 이뤄져 상암이나 야탑센터에 문제가 생겨도 고객의 데이터는 안전하게 보관된다.

한편 금감원은 17일부터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 카카오증권 등 카카오 금융계열사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점검에 나선다.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발생한 서비스장애에 대한 비상 대응에 문제가 있었지 등을 점검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번 사태에 대한 카카오 금융계열사들의 대응에 문제가 없었는지 샅샅이 보게 된다”며 “점검에서 규정 위반 사항이 발견되면 현장 점검이나 검사에 바로 돌입하게 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카카오 금융 계열사들이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한 지난 15일부터 지난 16일까지 시간대별로 어떤 대응을 했는지와 비상 대응계획 매뉴얼 및 시나리오를 제출 받아, 이를 그대로 이행했는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