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휴대용 미사일 '신궁' 개발

중앙일보

입력

국내 기술로 독자 개발한 휴대용 대공무기 신궁(新弓)이 성능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쳐 곧 실전에 배치될 예정이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30일 "최근 일곱차례의 사격 시험에서 모두 성공하는 등 90% 이상의 명중률을 보여 내년부터는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라며 "한국은 미국과 러시아.프랑스.일본에 이어 다섯번째로 적외선 유도식 휴대용 대공무기를 자체 개발한 국가가 됐다"고 발표했다.

ADD가 LG 이노텍을 비롯한 국내 방산업체와 8년간에 걸쳐 개발한 신궁은 최대사거리가 7km에 이르고 3.5km 높이의 목표를 마하2(음속의 두배)의 속도로 타격할 수 있는 유도탄이다. 대당 가격이 1억8천만원으로 1만피트(3.5km) 이하를 비행하는 전투기와 헬기를 대상으로 하는 저고도용 무기다.

신궁은 적 전투기의 엔진에서 나오는 열을 스스로 추적해 목표물을 격파하는 발사 후 망각(fire and forget)방식을 채용했으며, 특히 유도탄을 따돌리기 위해 적기에서 뿌리는 기만용 불꽃(flare)의 열기와 엔진열을 구분할 수 있는 탐색장치를 갖추고 있다.

또 목표물의 1.5m 부근에서 폭발해도 탄두에서 전투기 엔진을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7백여개 파편이 터져나와 적기를 무력화시킨다.

국방부는 신궁을 연간 5백발 정도 생산해 제블린(영국)과 미스트랄(프랑스).스팅어(미국) 등 기존의 외국산 휴대용 유도 무기와 함께 배치할 계획이다.

신궁은 명중률이 60% 수준인 스팅어나 SA-16보다 뛰어나고, 중량도 15㎏으로 미스트랄보다 6㎏ 정도 가벼워 우리 병사들이 운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영종 기자" >

ADVERTISEMENT
ADVERTISEMENT